에이브러햄 링컨 이야기
험난했던 시작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에이브러햄 링컨입니다. 여러분은 저를 미국의 16대 대통령으로 알고 있겠지만, 제 이야기는 아주 소박한 곳에서 시작되었답니다. 저는 1809년 2월 12일, 켄터키주의 통나무집에서 태어났어요. 당시 미국은 서쪽으로 막 뻗어 나가던 시기였고, 우리 가족의 삶은 개척지의 고된 노동으로 가득했습니다. 어렸을 때 저는 아버지를 도와 숲에서 나무를 베고 밭을 가는 등 힘든 일을 했지요. 하지만 제 마음은 항상 다른 곳을 향해 있었어요. 바로 책 속의 세상이었죠. 우리 집은 가난해서 책이 거의 없었지만, 저는 배움에 대한 갈증이 아주 컸습니다. 저는 촛불이 희미하게 타오르는 밤늦게까지 숯으로 슬레이트에 글씨를 쓰며 읽고 쓰는 법을 스스로 익혔습니다. 아홉 살 때 사랑하는 어머니 낸시를 잃는 큰 슬픔을 겪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얼마 후 아버지께서 새어머니 사라를 집으로 모셔왔고, 그녀는 제게 따뜻한 사랑과 함께 배움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셨습니다. 새어머니는 제가 책을 읽는 것을 격려해 주셨고, 그 덕분에 저는 더 넓은 세상을 꿈꿀 수 있었습니다.
나의 길을 찾아서
성인이 되면서 저는 제 길을 찾기 위해 집을 떠나 일리노이주의 뉴세일럼이라는 작은 마을로 이사했습니다. 그곳에서 저는 다양한 일을 경험했어요. 가게 주인이 되어 물건을 팔기도 하고, 우체국장으로 일하며 마을 사람들의 소식을 전하기도 했죠. 잠시 군인으로 복무한 적도 있었습니다. 이 모든 경험을 통해 저는 사람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법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제 마음을 가장 강하게 사로잡은 것은 바로 법이었습니다. 저는 법이 사람들에게 공정함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믿었어요. 그래서 저는 닥치는 대로 법률 서적을 빌려 밤낮으로 공부에 매달렸습니다. 마침내 1836년, 저는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여 사람들을 돕는 변호사가 되었습니다. 법에 대한 열정은 저를 정치의 세계로 이끌었습니다. 저는 1834년에 일리노이주 의회 의원으로 처음 선출되었고, 그곳에서 사회를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싶다는 꿈을 키웠습니다. 이 시기에 저는 제 인생의 동반자가 될 똑똑하고 활기찬 여성, 메리 토드를 만났고 우리는 곧 결혼하여 가정을 꾸렸습니다. 그녀는 제 정치 경력 내내 저의 가장 큰 지지자이자 조언자였습니다.
분열된 집
제가 정치가로 활동하던 시기에 미국은 노예제 문제로 깊이 분열되어 있었습니다. 남부 주들은 농업 경제를 위해 노예제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고, 북부 주들은 노예제가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 비도덕적인 제도라고 비판했습니다. 이 갈등은 점점 더 심해져 나라 전체를 둘로 갈라놓을 위기에 처했죠. 저는 '스스로 분열된 집은 바로 설 수 없다'고 굳게 믿었습니다. 한 나라가 절반은 노예 제도를 유지하고 절반은 자유로운 상태로 영원히 지속될 수는 없다고 생각했어요. 저는 스티븐 더글러스라는 정치인과 노예제를 새로운 주로 확대하는 문제를 놓고 여러 차례 치열한 토론을 벌였습니다. 저는 노예제가 더 이상 퍼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고, 이러한 저의 입장은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결국 1860년, 저는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고 그해 선거에서 승리하여 미국의 16대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저의 당선은 남부 주들에게는 위협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들은 제가 노예제를 폐지할 것이라고 두려워했고, 제가 취임하기도 전에 여러 주가 연방을 탈퇴하기 시작했습니다. 곧이어 미국 역사상 가장 가슴 아프고 어려운 시기인 남북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새로운 자유의 탄생
대통령으로서 제게 주어진 가장 큰 임무는 분열된 나라를 다시 하나로 합치는 것, 즉 연방을 지키는 것이었습니다. 전쟁은 끔찍했고 수많은 생명이 희생되었습니다. 저는 이 전쟁이 단지 나라를 통합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모든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것이어야 했습니다. 깊은 고뇌 끝에 저는 1863년 1월 1일,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이 선언은 반란을 일으킨 남부 연합 주들의 모든 노예가 자유롭다는 것을 선포하는 역사적인 조치였습니다. 같은 해 11월, 저는 게티즈버그 전투가 벌어졌던 곳에서 짧은 연설을 했습니다. 저는 그곳에서 이 나라가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이념 위에 세워졌음을 상기시키고, 전쟁에서 희생된 이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자유의 새로운 탄생을 이뤄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마침내 1865년, 기나긴 전쟁이 끝났습니다. 저는 '누구에게도 악의를 품지 말고, 모든 이를 사랑으로 대하며' 상처 입은 나라를 치유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제게는 그럴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1865년 4월 15일, 저는 연극을 관람하던 중 총에 맞아 목숨을 잃었습니다. 제 삶은 갑작스럽게 끝났지만, 제가 남긴 희망의 메시지는 영원히 살아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 나라의 정부는 항상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