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2세 여왕 이야기
예상치 못한 공주
여러분에게 제 어린 시절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시작할까 해요. 아마 미래의 여왕이 될 사람의 어린 시절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할 거예요. 저는 1926년 4월 21일에 태어났고, 가족들은 저를 '릴리벳'이라고 불렀답니다. 저와 제 여동생 마거릿은 조용하고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어요. 아버지는 왕의 둘째 아들이셨기 때문에, 저는 제가 언젠가 왕위를 계승하게 될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죠. 우리는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으며 비교적 평범한 삶을 살았어요. 하지만 제가 열 살이 되던 1936년, 제 큰아버지인 에드워드 8세께서 왕이 될 수 없다는 결정을 내리시면서 모든 것이 바뀌었어요. 그는 사랑하는 여인과 결혼하기 위해 왕위를 포기하셨고, 그로 인해 제 사랑하는 아버지가 조지 6세로 즉위하셨습니다. 그 순간, 갑자기 저는 왕위 계승 서열 1위가 되었고, 제 삶의 길은 제가 한 번도 상상해 본 적 없는 방향으로 정해졌어요. 제 조용했던 삶은 이제 국가에 대한 책임감으로 가득 차게 되었고, 저는 미래의 군주로서 필요한 역사, 법, 헌법에 대해 배우기 시작했답니다. 제 삶이 송두리째 바뀐 것 같았지만, 저는 제 운명을 받아들이고 아버지와 조국을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하기로 결심했어요.
한 젊은 여성의 의무
십 대 시절, 저는 세상이 전쟁에 휩싸이는 것을 지켜봐야 했어요. 제2차 세계대전이 1939년에 발발했을 때, 저는 겨우 열세 살이었죠. 런던이 폭격을 당하는 힘든 시기에도 우리 가족은 버킹엄 궁을 떠나지 않고 국민들과 함께하겠다고 약속했어요. 저는 제 몫을 다하고 싶었고, 1945년에는 여자 국방군(Auxiliary Territorial Service)에 입대하여 군용 트럭을 운전하고 수리하는 법을 배웠답니다. 다른 젊은이들과 함께 조국을 위해 봉사하는 것은 저에게 매우 중요한 경험이었어요. 전쟁이 끝난 후, 1947년에 저는 제 큰 사랑인 필립공과 결혼했습니다. 우리는 곧 찰스와 앤이라는 두 아이를 낳으며 가정을 꾸렸죠. 하지만 공주로서의 제 시간은 짧았어요. 1952년, 우리가 케냐를 순방하던 중,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는 슬픈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그 소식을 들었을 때 저는 나무 위 오두막에 있었어요. 아버지를 잃은 슬픔과 함께, 지구 반대편 그곳에서 저는 스물다섯의 나이로 영국의 새로운 여왕이 되었습니다. 준비할 시간도 없이, 제 어깨 위에는 엄청난 책임감이 지워졌지만, 저는 제게 주어진 의무를 다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여왕으로서의 7십 년
1953년에 열린 저의 대관식은 웅장한 행사였지만, 그 이면에는 제 평생을 국민들을 위해 봉사하겠다는 엄숙한 약속이 담겨 있었어요. 그날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저는 제 삶을 조국에 헌신하겠다고 맹세했습니다. 그 후 70년 동안, 저는 세상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변하는 것을 지켜보았어요. 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발을 딛는 순간부터 인터넷의 발명까지 말이죠. 저는 전 세계를 여행하며 제게 무척 소중한 국가 연합인 영연방의 여러 나라 지도자들과 국민들을 만났습니다. 영연방은 대영제국이 변화하면서 형성된, 서로 협력하는 독립 국가들의 가족과도 같은 공동체였어요. 이 모든 격동의 시간 속에서도, 저의 사랑스러운 코기들은 항상 제 곁을 지켜주었고, 말에 대한 저의 사랑은 변함없는 기쁨이었습니다. 저는 윈스턴 처칠 총리를 시작으로 총 15명의 총리들과 함께 일하며 국가의 중요한 순간마다 중심을 잡으려 노력했습니다. 저의 역할은 정치에 직접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안정과 연속성의 상징이 되어 국민들에게 힘이 되어주는 것이었답니다.
지켜진 약속
돌이켜보면 제 삶은 예상치 못한 전환으로 가득했지만, 그 모든 것은 제가 오래전에 했던 약속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2022년, 저는 즉위 70주년을 기념하는 플래티넘 주빌리를 맞이했고, 그해 9월 사랑하는 스코틀랜드의 밸모럴성에서 평화롭게 눈을 감았습니다. 여러분의 여왕으로 살아온 것은 제게 가장 큰 영광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저를 기억할 때, 그 약속에 대한 저의 헌신, 조국과 영연방에 대한 사랑, 그리고 우리가 목적과 존중을 가지고 함께 일할 때 위대한 일을 이룰 수 있다는 저의 믿음을 떠올려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삶은 의무를 다하는 삶이었고, 그 약속을 지켰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