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힘이야
나는 연이 하늘 높이 춤추게 하는 바람의 숨결이야. 나는 네가 던진 공을 부드럽게 땅으로 다시 끌어당기는 보이지 않는 손이야. 냉장고 문을 '탁'하고 닫을 때 자석을 제자리로 이끄는 것도 바로 나지. 나는 해변의 모래성을 무너뜨리는 파도의 충돌이고, 돛단배를 바다 건너편으로 밀어주는 속삭임이야. 너는 나를 볼 수 없지만, 매 순간 나의 존재를 느껴. 네가 아침에 침대에서 일어날 때, 나는 너를 아래로 끌어당기고, 너의 근육은 나에게 저항하며 하루를 시작하게 해. 네가 그네를 밀 때, 너는 나를 친구에게 전달하고, 나는 그 친구를 하늘로 솟구치게 만들어. 나는 시작과 끝, 움직임과 정지 그 자체야. 나는 에너지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는 우주의 메신저란다. 나는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돌게 하고, 강물이 바다로 흐르게 해. 세상의 모든 움직임 뒤에는 내가 있어. 이토록 강력하고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너는 아직 내 이름을 부르지 못했구나. 나는 밀고, 당기고, 비틀고, 멈추게 하는 모든 작용이야. 나는 힘이야.
오랫동안 인간들은 나를 어렴풋이 느끼기만 했어. 그들은 내가 왜 존재하는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지. 아주 오래전, 아리스토텔레스라는 똑똑한 사상가는 모든 물체가 자연스럽게 멈추고 싶어 한다고 생각했어. 그래서 계속 움직이게 하려면 끊임없이 나를 가해야 한다고 믿었지. 예를 들어, 수레를 계속 밀어야만 앞으로 나아가는 것처럼 말이야. 그의 생각은 일리가 있었지만, 이야기의 절반에 불과했어. 그는 마찰력이라는 나의 또 다른 얼굴을 미처 보지 못했던 거야. 수레가 멈추는 건 바닥과의 마찰 때문인데 말이지. 시간이 흘러, 나의 비밀을 풀어줄 영웅이 나타났어. 그의 이름은 아이작 뉴턴이었지. 그는 조용한 정원에 앉아 생각에 잠기는 것을 좋아했어. 어느 날, 나는 그의 눈앞에서 나뭇가지에 매달린 사과 하나를 부드럽게 끌어당겼어. '툭'하고 떨어진 사과가 땅에 닿는 단순한 광경이 그의 마음에 거대한 질문의 불꽃을 지폈지. "왜 사과는 아래로만 떨어질까? 옆이나 위로는 안 되고?" 그는 궁금해했어. 그 작은 질문이 모든 것을 바꾸었단다. 뉴턴은 나를 이해하기 위해 수년간 나를 관찰하고 연구했어. 그리고 마침내 나의 행동을 설명하는 세 가지 멋진 규칙을 세상에 알렸지. 바로 '운동의 3법칙'이야. 첫 번째 법칙은 '관성의 법칙'인데, "모든 물체는 하던 일을 계속하려는 성질이 있다"는 거야. 멈춰 있는 공은 누가 차지 않는 한 계속 멈춰 있고, 움직이는 버스가 갑자기 멈추면 네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지. 두 번째 법칙은 나의 힘이 물체의 무게와 속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해. "나의 힘이 클수록, 물체는 더 빨리 속도를 낸다"는 거지. 빈 쇼핑 카트를 미는 것보다 물건이 가득 찬 카트를 미는 게 더 힘든 것처럼 말이야. 마지막 세 번째 법칙은 '작용-반작용의 법칙'이야. "내가 한쪽으로 작용하면, 반드시 똑같은 크기의 힘이 반대쪽으로 작용한다"는 뜻이지. 네가 벽을 밀면, 사실 벽도 너를 똑같은 힘으로 밀고 있는 거야. 로켓이 뜨거운 가스를 아래로 내뿜으며 위로 솟구치는 것도 이 원리 덕분이란다. 뉴턴 덕분에 인류는 비로소 나를 제대로 이해하고 내 힘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기 시작했어.
나는 한 가지 모습만 가지고 있지 않아. 사실 나는 아주 다양한 얼굴을 가진 변신의 귀재란다. 우주 전체를 아우르는 나의 가장 유명한 얼굴은 바로 '중력'이야. 나는 너를 땅에 단단히 붙어 있게 하고, 달이 지구 주위를 빙글빙글 돌게 하는 보이지 않는 끈이야. 내 중력의 힘은 사실 다른 힘들에 비해 아주 약한 편이지만, 내 영향력은 끝이 없어서 은하계 전체를 하나로 묶어두는 역할을 하지. 나는 모든 것을 끌어당기는 우주의 거대한 포옹이란다. 나의 또 다른 얼굴은 아주 활기차고 짜릿해. 바로 '전자기력'이지. 나는 밤하늘을 가르는 번개의 섬광이고, 자석이 서로를 밀어내거나 끌어당기게 하는 신비한 힘이야. 네가 방의 불을 켜고, 스마트폰을 충전하고, 텔레비전을 볼 수 있는 것도 모두 나의 전자기력 덕분이지. 심지어 우리가 보는 빛 자체도 나의 한 형태란다. 나는 보이지 않는 파동이 되어 세상을 색과 정보로 가득 채워. 이제 아주아주 작은 세계로 들어가 볼까? 그곳에는 나의 가장 강력하지만 수줍음 많은 얼굴들이 숨어 있어. '강한 핵력'은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접착제와 같아. 원자보다도 더 작은 세상 속에서, 물질의 기본 구성 요소인 양성자와 중성자를 단단히 묶어두는 역할을 해. 만약 내가 이들을 꽉 붙잡고 있지 않으면, 세상의 모든 원자는 산산조각 나고 말 거야. 마지막으로 '약한 핵력'이라는 얼굴도 있어. 이 힘은 원자 내부에서 변화를 일으키는 역할을 해. 예를 들어, 태양이 그토록 뜨거운 빛과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것도 바로 이 약한 핵력 덕분이야. 원자들이 다른 종류의 원자로 변하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거든. 이렇게 나는 거대한 우주에서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원자 세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세상을 만들고 움직이고 있단다.
인간들이 나의 규칙과 다양한 얼굴들을 이해하게 되면서, 놀라운 일들이 벌어지기 시작했어. 사람들은 더 이상 나를 두려워하거나 신비롭게만 여기지 않고, 나를 이용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시작했지. 공학자들은 나의 중력을 거스르는 방법을 계산해서 하늘을 찌를 듯한 마천루를 세웠어. 그들은 나의 힘을 정확히 이해했기 때문에, 거대한 건물이 무너지지 않고 굳건히 서 있을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었지. 로켓 과학자들은 나의 작용-반작용 법칙을 이용해 인류의 꿈을 우주로 쏘아 올렸어. 로켓이 내뿜는 강력한 가스는 지구를 밀어내고, 그 반작용으로 로켓은 나의 중력을 이겨내고 별들을 향해 나아가지. 자동차나 비행기를 디자인할 때도 나를 고려해야 해. 공기 저항이라는 나의 또 다른 힘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끄럽고 유선형의 몸체를 만드는 거야. 덕분에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지. 이 모든 것이 나를 이해했기에 가능한 일들이야. 이제 주위를 둘러봐. 그네를 미는 아이의 웃음 속에도, 세차게 부는 바람에도, 켜져 있는 컴퓨터의 불빛 속에도 내가 있어. 나는 모든 곳에 존재하며 세상을 움직이고 있어.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실을 잊지 마. 너의 안에도 힘이 있다는 것을. 배우고, 창조하고, 친구를 돕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너만의 힘 말이야. 너는 너의 힘으로 무엇을 할 거니?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