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살아있는 심장, 판 구조론 이야기
여러분이 딛고 서 있는 땅이 언제나 단단하고 조금도 움직이지 않는다고 느끼나요. 대부분의 시간 동안은 그 말이 맞아요. 하지만 아주, 아주 천천히, 여러분이 알아채지 못할 정도로 나는 움직이고 있답니다. 나는 매년 산을 몇 밀리미터씩 더 높이 밀어 올리고, 바다를 조금씩 더 넓게 만들어요. 때로는 땅을 흔들고 굉음을 내며 나의 존재를 알리기도 하죠. 마치 거대한 퍼즐 조각 같은 대륙들이 이제는 서로 잘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이나요. 하지만 한때는 완벽하게 하나였답니다. 나는 그 거대한 퍼즐 조각들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힘이에요. 나는 지구의 느리지만 강력한 심장 박동. 나는 판 구조론입니다.
오래전 사람들은 나를 전혀 알지 못했어요. 그저 땅은 고정되어 있고, 바다는 영원히 그 자리에 있다고 믿었죠. 하지만 호기심 많은 사람들은 지도를 보며 고개를 갸웃거리기 시작했어요. 1500년대에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 같은 지도 제작자들은 남아메리카의 동쪽 해안선과 아프리카의 서쪽 해안선이 마치 서로를 향해 손을 뻗는 것처럼 보인다는 걸 알아차렸죠. 정말 딱 들어맞을 것 같지 않나요. 그리고 20세기에 들어서, 나의 이야기를 풀어낼 한 용감한 과학자가 등장했어요. 그의 이름은 알프레드 베게너였죠. 1912년 1월 6일, 그는 '대륙 이동설'이라는 대담한 생각을 세상에 내놓았어요. 그는 단순히 해안선 모양만 보고 그런 주장을 한 게 아니었어요. 그는 바다 건너 멀리 떨어진 대륙들에서 똑같은 식물과 동물 화석을 발견했어요. 심지어 지금은 거대한 대양으로 갈라진 산맥들이 한때는 하나로 길게 이어져 있었다는 증거도 찾아냈죠. 베게너의 생각은 기발했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그를 비웃었어요. 그가 한 가지 아주 중요한 질문에 답하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대체 무슨 힘이 그렇게 거대한 대륙을 움직인단 말인가. 그의 멋진 생각에는 엔진이 빠져 있었던 셈이죠.
수십 년이 흘러 20세기 중반이 되었어요. 나의 비밀을 풀 열쇠는 육지가 아닌, 아무도 가보지 못한 깊고 어두운 바닷속에 숨어 있었죠. 이 장의 영웅은 마리 타프와 브루스 히즌이라는 과학자들이에요. 당시에는 남자 과학자들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데이터를 수집했고, 마리는 연구실에 남아 그 데이터들을 한 점 한 점 painstakingly하게 지도 위에 옮기는 일을 했어요. 1950년대, 그녀는 수많은 데이터 점들을 연결하다가 놀라운 것을 발견했어요. 대서양 한가운데에 거대한 산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었고, 그 산맥의 정중앙에는 깊은 골짜기가 나 있었던 거예요. 바로 '대서양 중앙 해령'이었죠. 이것이 바로 잃어버린 조각이었어요. 해령의 갈라진 틈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해저가 마치 거대한 컨베이어 벨트처럼 양쪽으로 넓어지고 있었던 거예요. 그리고 이 힘이 바로 대륙을 움직이는 원동력이었죠. 마리의 지도는 알프레드 베게너의 아이디어에 빠져 있던 강력한 엔진을 달아주었어요.
이제 여러분은 내가 어떻게 활동하는지 이해하게 되었을 거예요. 나는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어요. 나의 조각, 즉 판들이 서로 부딪혀 히말라야 같은 거대한 산맥을 만들기도 하고, 산안드레아스 단층처럼 서로 미끄러지며 지진을 일으키기도 해요. 또 대서양 깊은 곳에서는 서로 멀어지며 새로운 땅을 만들어내고 있죠. 나는 무서운 존재가 아니에요. 나는 지구가 살아있고 역동적인 행성이라는 증거랍니다. 나를 이해함으로써 과학자들은 지진과 화산 폭발을 예측하고, 중요한 자원을 찾으며, 우리 행성이 가진 놀라운 힘을 더 깊이 존중하게 되었어요. 나는 세상을 만드는 끊임없는 변화 그 자체예요. 가장 거대해 보이는 것들조차 항상 움직이며 새로운 풍경과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주세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