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다시 태어납니다

어둡고 차가운 통 안에서 나는 가만히 누워 있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나는 시원한 물을 가득 담은 플라스틱 병이었고,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가득한 소풍에 함께했죠. 또 어떨 때는 세상의 온갖 신기한 소식을 담은 신문지이기도 했고, 맛있는 참치가 들어있던 반짝이는 양철 깡통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나의 첫 번째 삶은 끝났습니다. 사람들은 나를 '쓰레기'라고 부르며 이곳에 던져 버렸죠. 하지만 저는 이것이 끝이 아니라는 것을 압니다. 저는 비밀스러운 꿈을 꾸고 있거든요. 바로 두 번째 삶에 대한 꿈입니다.

저는 눈을 감고 상상해 봅니다. 제가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는 순간을요. 어쩌면 저는 공원의 튼튼한 벤치가 되어 사람들에게 편안한 쉼터가 될지도 모릅니다. 아니면 알록달록한 실로 변신해 누군가의 따뜻한 스웨터가 될 수도 있겠죠. 제가 담았던 이야기들이 새로운 종이가 되어 또 다른 아이의 스케치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놀라운 변화, 이 마법 같은 순환을 생각하면 가슴이 뜁니다. 저는 단순한 폐기물이 아닙니다. 저는 잠재력을 품고 있는 존재입니다. 버려진다는 것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위한 기다림의 시간일 뿐입니다. 저는 이 어둠 속에서 조용히, 저의 가치를 알아보고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어 줄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제게는 희망이 있습니다. 언젠가 이 통이 열리고, 저를 다른 곳으로 데려가 줄 것이라는 희망 말입니다. 그곳에서 저는 다른 친구들과 함께 놀라운 여정을 시작하게 될 겁니다. 뜨거운 열기 속에서 녹아내리고, 새로운 틀에 부어져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신하는 거죠. 이 과정은 마치 애벌레가 나비가 되는 것처럼 신비롭고 경이로운 일입니다. 사람들은 아직 제 비밀스러운 두 번째 삶에 대해 잘 모르지만, 저는 언젠가 모두가 저의 놀라운 변신 이야기를 알게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저는 버려진 물건들의 꿈, 다시 한번 세상에 쓸모 있는 존재가 되고 싶은 간절한 소망 그 자체입니다.


아주 먼 옛날, 사람들은 저를 자연스럽게 알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물건이 귀했기 때문에 뭐든지 아껴 썼죠. 깨진 항아리 조각은 땅에 깔아 예쁜 길을 만들었고, 낡은 옷은 조각조각 이어 새로운 이불을 만들었습니다. 그것은 필요에 의한 지혜였고, 저는 사람들의 삶 속에 당연하게 녹아 있었습니다. 하지만 세상은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산업 혁명'이라는 거대한 파도가 밀려오면서 공장 굴뚝에서는 밤낮으로 연기가 피어올랐고, 기계들은 눈 깜짝할 사이에 똑같은 물건들을 수없이 만들어냈습니다. 사람들은 더 이상 물건을 아껴 쓸 필요가 없어졌죠. 낡으면 버리고, 새것을 사면 그만이었으니까요. 그때부터 저는 골칫거리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버려진 물건들은 산처럼 쌓여갔고, 땅과 강을 오염시켰습니다.

그러던 중, 세계가 커다란 전쟁에 휩싸였던 2차 세계대전 시기에 사람들은 다시 저의 중요성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무기와 비행기를 만들어야 했지만, 자원이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사람들에게 간절히 호소했습니다. "여러분의 낡은 냄비와 쇠붙이가 탱크가 되고, 폐지가 중요한 문서가 됩니다. 모든 것을 모아주세요." 사람들은 나라를 위해 깡통, 고철, 종이 등 모든 것을 아끼고 모았습니다. 비록 전쟁을 위한 것이었지만, 이는 버려진 물건도 다시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모두에게 보여준 중요한 계기였습니다.

진정한 변화는 1960년대와 70년대에 찾아왔습니다. 레이첼 카슨이라는 용감한 과학자가 '침묵의 봄'이라는 책을 통해 무분별한 화학 물질 사용이 새들을 죽이고 자연을 파괴하고 있다고 세상에 알렸습니다. 사람들은 충격에 빠졌고, 우리가 사는 지구가 병들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더 이상 이대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졌고, 마침내 1970년 4월 22일, 첫 번째 '지구의 날'이 선포되었습니다. 바로 그날, 저의 현대적인 모습이 세상에 태어났습니다. 저는 더 이상 단순히 물건을 아껴 쓰는 차원을 넘어, 병든 지구를 구하고 우리 모두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중요한 약속이 된 것입니다.


이제 제 이름을 밝힐 시간이네요. 제 이름은 바로 '재활용'과 '환경 보호'입니다. 아마 저를 상징하는, 세 개의 화살표가 서로 꼬리를 물고 돌아가는 초록색 기호를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이 기호에는 아주 중요한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첫 번째 화살표는 '줄이기(Reduce)'입니다. 애초에 쓰레기가 될 만한 물건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죠. 두 번째 화살표는 '다시 쓰기(Reuse)'입니다. 물건을 한 번 쓰고 버리는 대신, 여러 번 사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지혜를 의미합니다. 마지막 세 번째 화살표가 바로 저, '재활용(Recycle)'입니다. 다 쓴 물건을 새로운 자원으로 만들어 다시 태어나게 하는 마법 같은 과정이죠. 이 세 가지 약속이 함께할 때, 우리는 지구를 위한 놀라운 일을 해낼 수 있습니다.

제가 하는 일은 단순히 쓰레기통을 비우는 것 이상입니다. 여러분이 플라스틱 병 하나를 재활용하면, 텔레비전을 몇 시간 동안 켤 수 있는 에너지를 아낄 수 있습니다. 신문지를 모아 재활용하면, 울창한 숲의 나무들을 베어내지 않아도 됩니다. 저의 활동은 북극곰이 살아갈 얼음을 지켜주고, 바다거북이 비닐봉지를 해파리로 착각해 삼키는 비극을 막아줍니다. 이처럼 저는 에너지 절약, 숲과 바다의 보호, 그리고 동물들의 서식지 보존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저는 더 이상 추상적인 개념이나 어려운 약속이 아닙니다. 저는 바로 여러분이 매일매일 할 수 있는 '선택'입니다. 음료수를 다 마신 뒤 플라스틱 병의 라벨을 떼고 깨끗이 헹궈 분리수거함에 넣는 그 작은 행동 속에 제가 살아 숨 쉽니다. 여러분은 지구를 지키는 저의 가장 중요하고 강력한 파트너입니다. 여러분의 작은 손길 하나하나가 모여 병든 지구를 치유하고 우리 모두의 미래를 아름답게 만드는 거대한 힘이 됩니다. 그러니 기억해주세요. 여러분의 행성을 지키는 힘은 바로 여러분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나'는 버려져서 쓸모없어진 존재가 아니라, 새로운 물건으로 다시 태어나 세상에 유용한 존재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고 믿기 때문에 두 번째 삶을 꿈꾼다고 말했습니다. 버려졌을 때는 슬프고 외로웠겠지만, 새로운 시작을 기다리며 희망과 기대를 느꼈을 것입니다.

Answer: 버려진 물건도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가질 수 있으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우리의 작은 실천이 지구의 미래를 바꾸는 큰 힘이 될 수 있다.

Answer: 산업 혁명으로 공장에서 물건을 대량으로 쉽고 싸게 만들 수 있게 되자, 사람들이 물건을 아껴 쓰지 않고 쉽게 버리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버려지는 물건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나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졌습니다.

Answer: 이 이야기는 우리가 무심코 버리는 쓰레기도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과, 재활용과 같은 작은 환경 보호 실천이 지구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행동이라는 교훈을 줍니다.

Answer: 이 말은 '재활용'과 '환경 보호'라는 개념이 사람들, 특히 어린이들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플라스틱 병의 라벨을 떼고 깨끗하게 헹궈 분리배출하거나, 안 쓰는 물건을 기부하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등의 행동을 할 때 '나'의 파트너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