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한 바퀴 돈 나의 항해 이야기
나의 이름은 페르디난드 마젤란, 16세기 초에 살았던 포르투갈의 항해가란다. 내가 살던 시대는 위대한 발견의 시대였지. 사람들은 지도에 그려지지 않은 미지의 세계를 향한 꿈으로 가득 차 있었어. 그중에서도 가장 큰 꿈은 바로 '향료 제도'에 닿는 것이었단다. 지금의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인데, 그곳에서 나는 정향, 육두구 같은 향신료들은 금보다도 비싼 값에 팔렸지. 유럽의 모든 왕국이 이 향료를 손에 넣고 싶어 했지만, 동쪽으로 가는 항로는 이미 나의 조국 포르투갈이 장악하고 있었어. 나는 다른 길을 생각했단다. 모두가 동쪽으로 갈 때, 나는 서쪽으로 가고 싶었어. 지구가 둥글다면, 계속 서쪽으로 항해해도 언젠가는 동쪽에 있는 향료 제도에 도착할 수 있을 거라고 굳게 믿었지. 하지만 나의 이런 대담한 생각은 포르투갈 왕에게는 허무맹랑하게 들렸나 봐. 그는 내 계획을 단번에 거절했어. 하지만 나는 포기하지 않았지. 나는 스페인으로 건너가 젊은 왕 카를로스 1세를 만났단다. 나는 내 계획의 모든 것을 열정적으로 설명했어. 새로운 항로를 개척한다면 스페인에 엄청난 부와 명예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이야. 나의 끈질긴 설득 끝에 왕은 마침내 내 꿈에 투자하기로 결정했어. 그렇게 1519년 8월 10일, 나는 다섯 척의 배와 약 270명의 선원을 이끌고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항해를 시작하게 되었단다.
1519년 9월 20일, 우리는 스페인의 산루카르 데 바라메다 항구를 떠났어. 나의 기함인 트리니다드호를 포함해 산 안토니오, 콘셉시온, 빅토리아, 산티아고호까지 총 다섯 척의 배가 미지의 세계를 향해 돛을 올렸지. 익숙한 해안선이 시야에서 사라질 때, 내 가슴은 희망과 함께 알 수 없는 두려움으로 가득 찼어. 대서양은 우리를 쉽게 보내주지 않았단다. 집채만 한 파도가 몰아치는 끔찍한 폭풍우를 여러 번 만났고, 몇 주 동안 바람 한 점 불지 않는 무더위에 갇히기도 했지. 시간은 하염없이 흘러갔고, 선원들 사이에서는 불안과 의심이 싹트기 시작했어. 대부분 스페인 사람이었던 선원들은 포르투갈 출신인 나를 처음부터 신뢰하지 않았거든. 그들은 우리가 길을 잃었다고, 내가 그들을 죽음으로 몰고 가고 있다고 수군거렸어. 마침내 1520년 4월, 남미의 추운 항구인 산훌리안에 정박했을 때 그들의 불만은 폭발하고 말았지. 세 척의 배 선장들이 나에게 반기를 든 거야. 정말 위험한 순간이었지만, 나는 단호하게 행동해야만 했어. 이 위대한 여정을 여기서 멈출 수는 없었으니까. 나는 리더로서의 권위를 지켜냈고, 반란은 진압되었지만 우리는 소중한 동료들을 잃어야 했지. 우리는 계속 남쪽으로 향했고, 그 과정에서 정찰을 나갔던 산티아고호가 폭풍에 난파되는 비극도 겪었어. 하지만 기나긴 수색 끝에, 1520년 10월 21일, 우리는 마침내 대서양과 또 다른 바다를 잇는 좁고 구불구불한 해협을 발견했단다. 그 순간의 기쁨이란! 훗날 내 이름이 붙게 될 그 해협을 통과하며, 나는 우리의 꿈이 결코 헛되지 않았음을 확신했어.
그 험난한 해협을 38일 만에 통과했을 때, 우리 눈앞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광경이 펼쳐졌어. 끝없이 넓고, 믿을 수 없을 만큼 고요하고 평화로운 바다였지. 거친 대서양과는 너무나도 달랐어. 나는 그 바다에 '평화로운 바다'라는 뜻의 '마르 파시피코', 즉 태평양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단다. 하지만 그 평화로운 이름과 달리, 태평양을 건너는 여정은 지옥과도 같았어. 우리는 이 바다가 이렇게나 클 줄은 상상도 못 했거든. 무려 99일 동안 육지라고는 그림자도 보지 못했어. 가져온 식량과 물은 모두 바닥났고, 우리는 톱밥과 가죽, 심지어 쥐까지 잡아먹으며 굶주림을 견뎌야 했지.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먹지 못해 많은 선원이 잇몸에서 피를 흘리며 죽어가는 끔찍한 괴혈병에 시달렸어. 하루하루 동료들이 쓰러져가는 것을 보며 절망감이 밀려왔지만, 우리는 서로를 의지하며 버텼단다. 마침내 1521년 3월, 우리는 기적처럼 육지를 발견했고, 필리핀 제도에 도착하게 되었어. 그곳에서 우리는 처음으로 따뜻한 음식과 신선한 물을 맛볼 수 있었지. 나는 현지 부족의 지도자들과 교류하며 스페인과의 동맹을 맺으려 노력했어. 하지만 나의 여정은 그곳에서 끝을 맺게 된단다. 1521년 4월 27일, 나는 막탄 섬의 전투에 휘말려 목숨을 잃고 말았지. 나의 꿈은 끝났지만, 나의 이야기는 살아남은 동료들에게 이어졌단다.
내가 세상을 떠난 후, 남은 선원들은 나의 꿈을 이어가기로 결심했어. 그들은 수많은 역경을 헤쳐나가야 했지. 인원이 너무 줄어 콘셉시온호를 불태워야 했고, 두 척의 배만이 향료 제도에 도착할 수 있었단다. 그곳에서 향신료를 가득 실었지만, 트리니다드호는 태평양을 건너려다 포르투갈군에 붙잡히고 말았어. 오직 한 척,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가 이끄는 빅토리아호만이 서쪽으로 계속 나아갔지. 그들은 포르투갈 함대를 피해 아프리카를 돌아 기나긴 항해를 계속했어. 그리고 마침내 1522년 9월 6일, 18명의 지친 생존자들을 태운 빅토리아호가 스페인으로 돌아왔단다. 3년 전 떠났던 270명 중 극소수만이 살아 돌아온 거야. 하지만 그들은 해냈어. 인류 최초로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성공한 것이지. 그들의 귀환은 지구가 정말 둥글다는 것을, 그리고 세상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넓고 위대하다는 것을 증명했단다. 비록 나는 그 끝을 보지 못했지만, 나의 작은 꿈이 인류의 세계관을 영원히 바꾸어 놓은 거야. 이 이야기는 너희들에게 미지의 세계를 향한 용기와 불가능해 보이는 꿈일지라도 포기하지 않는 끈기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싶구나.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