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된 집을 다시 세운 에이브러햄 링컨
내 이름은 에이브러햄 링컨입니다. 나는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위대한 생각 위에 세워진 나라인 미국을 깊이 사랑했습니다. 하지만 내가 대통령이었을 때, 우리나라는 마치 폭풍우 속의 배처럼 흔들리고 있었습니다. 바로 노예제라는 끔찍한 문제 때문이었죠. 북부 주들은 노예제가 잘못되었다고 믿었지만, 남부 주들은 그들의 경제와 삶의 방식에 노예제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견은 점점 커져만 갔고, 나는 우리 나라가 '스스로 분열된 집은 바로 설 수 없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한 집안의 가족이 서로 싸우면 그 집이 무너질 수밖에 없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반으로 갈라질 위험에 처해 있었습니다. 나의 가장 큰 두려움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1861년 4월 12일, 남부 주들이 아메리카 연합국이라는 새로운 나라를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섬터 요새에 포탄을 발사했을 때, 내 마음은 무너져 내렸습니다. 형제가 형제에게 총을 겨누는 끔찍한 남북전쟁이 시작된 것입니다. 나는 이 연방을, 우리 조상들이 함께 세운 이 위대한 나라를 지켜야만 했습니다.
전쟁은 길고 끔찍했습니다. 대통령으로서 나는 매일같이 무거운 결정을 내려야 했습니다. 밤늦게까지 백악관 집무실에 앉아 전장에서 온 보고서를 읽고, 아들과 남편을 잃은 가족들이 보낸 슬픔 가득한 편지들을 읽었습니다. 그 편지들 하나하나가 내 가슴에 박혔지만, 나는 결코 포기할 수 없었습니다. 이 연방은 지킬 가치가 있었고, 자유라는 이념은 싸울 가치가 있었습니다. 전쟁이 시작된 지 거의 2년이 지난 1863년 1월 1일, 나는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 중 하나에 서명했습니다. 바로 노예 해방 선언문이었습니다. 이 선언은 남부 연합 지역의 모든 노예에게 자유를 약속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전쟁에서 이기기 위한 전략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무엇을 위해 싸우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약속이었습니다. 우리는 단순히 나라를 하나로 합치기 위해 싸우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자유로워질 권리가 있다는 미국의 근본적인 약속을 지키기 위해 싸우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해 7월, 펜실베이니아의 작은 마을 게티즈버그에서 끔찍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수만 명의 용감한 군인들이 목숨을 잃었죠. 몇 달 후인 11월 19일, 나는 그곳을 찾아가 국립묘지 봉헌식에서 짧은 연설을 했습니다. 나는 그 자리에서 우리가 이들의 희생을 헛되이 해서는 안 되며, 이 나라가 '자유의 새로운 탄생'을 경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나는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가 이 땅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우리의 싸움을 계속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마침내 4년이라는 길고 고통스러운 시간이 흐른 뒤, 전쟁의 끝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1865년 4월 9일, 남부 연합의 로버트 리 장군이 우리 연방군의 율리시스 그랜트 장군에게 애포매톡스 코트 하우스에서 항복했습니다. 전쟁은 끝났습니다. 연방은 지켜졌고, 노예제는 영원히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승리의 기쁨 속에서도 내 마음은 무거웠습니다. 너무나 많은 생명이 희생되었고, 나라는 깊은 상처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가장 어려운 과제가 남아있었습니다. 바로 분열된 나라를 다시 하나로 묶고 상처를 치유하는 일이었습니다. 나는 나의 두 번째 취임 연설에서 '누구에게도 악의를 품지 말고, 모든 이를 자비로 대하며' 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우자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남부 사람들을 적으로 대할 것이 아니라, 잃어버렸던 형제로 다시 맞이해야 했습니다. 전쟁의 끔찍한 대가는 컸지만, 그 희생 덕분에 우리는 더 강하고, 더 자유롭고, 더 정의로운 나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었습니다. 하나의 연방을 지켜내고 노예제를 끝낸 것은 우리의 위대한 유산입니다. 그리고 더 완벽한 나라를 만들어가는 일은 미래 세대인 여러분에게 달려있습니다."
습니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