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된 집: 에이브러햄 링컨 이야기
안녕하세요, 저는 에이브러햄 링컨입니다. 저는 키가 아주 크고 항상 높은 모자를 쓰고 다녔답니다. 제가 살았을 때 우리나라인 미국은 한 지붕 아래 사는 아주 큰 가족 같았어요. 하지만 그 가족은 아주 중요한 문제로 다투고 있었죠. 바로 어떤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을 자신의 물건처럼 소유하는 것이 옳은지에 대한 문제였어요. 저는 이것이 아주 잘못되었다고 생각했어요. 저는 우리 집이 그런 큰 다툼으로 나뉘면 제대로 서 있을 수 없다고 믿었어요. 마치 한쪽은 나무로, 다른 한쪽은 짚으로 지은 집처럼 말이에요. 언젠가는 무너질 수밖에 없죠. 저는 모든 사람이 자유로울 권리가 있다고 굳게 믿었고, 이 다툼을 해결해야만 했어요.
슬프게도, 그 말다툼은 결국 남북전쟁이라는 아주 큰 싸움으로 번졌어요. 저는 이 힘든 시기에 미국의 대통령이었답니다. 대통령으로서 저는 나라 전체의 슬픔을 어깨에 짊어진 것 같았어요. 매일매일 슬픈 소식을 들었지만, 동시에 나라를 위해 싸우는 사람들의 엄청난 용기도 보았죠. 싸움에는 두 편이 있었어요. 북쪽의 연방은 제 편이었는데, 우리는 나라를 하나로 굳건히 지키기 위해 싸웠어요. 남쪽의 연합은 노예 제도를 지키기 위해 나라에서 떨어져 나가고 싶어 했죠. 전쟁 중이던 1863년 1월 1일, 저는 아주 중요한 약속을 했어요. 바로 '노예 해방 선언'이었죠. 이것은 남부 주에 있는 모든 노예가 그날부터 영원히 자유로워질 것이라는 특별한 선언이었어요. 그것은 희망의 빛줄기였답니다.
마침내 1865년 4월 9일, 길고 힘든 전쟁이 끝났어요. 평화가 찾아왔고, 우리는 나라를 다시 하나로 합치는 일을 시작할 수 있었죠. 전쟁이 한창이던 1863년 11월 19일, 저는 게티즈버그라는 곳에서 짧은 연설을 했어요. 그곳에서 저는 우리나라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위대한 생각 위에 세워졌다는 것을 모두에게 다시 한번 일깨워 주었죠. 비록 전쟁은 끔찍하고 슬픈 일이었지만, 그 시련을 통해 우리나라는 다시 함께하게 되었어요. 그리고 모든 사람에게 자유를 약속하며 이전보다 더 강하고 단합된 나라가 되었답니다. 여러분도 항상 다른 사람을 돕고, 옳은 일을 위해 용감하게 맞서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