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꿈

제 이름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입니다. 저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사랑이 넘치는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저희 부모님은 제게 모든 사람은 소중하며 평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가르쳐 주셨죠. 하지만 문밖으로 나가면 세상은 달랐습니다. '백인 전용'과 '유색인 전용'으로 나뉜 식수대, 버스의 뒷자리에만 앉아야 하는 규칙들을 보며 제 마음속에는 깊은 슬픔과 혼란이 자리 잡았습니다. 왜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누군가는 더 나은 대우를 받고, 누군가는 부당한 차별을 받아야 하는 걸까요? 이런 불공평한 현실은 제게 큰 의문을 안겨주었고, 저는 모든 사람이 형제처럼 어울려 사는 세상을 꿈꾸기 시작했습니다. 제 신앙과 학문은 그 꿈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저는 폭력이 아닌 사랑과 평화적인 방법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굳게 믿게 되었습니다. 이 믿음은 제 인생의 길잡이가 되었고, 정의와 평등을 위한 길고 긴 여정의 첫걸음을 떼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그 꿈을 행동으로 옮기게 된 결정적인 사건은 1955년 12월 1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일어났습니다. 로자 파크스라는 용감한 여성이 버스에서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부당한 요구를 거부했습니다. 그녀의 작은 행동은 거대한 불꽃을 일으켰습니다. 그녀의 용기에 감동한 흑인 공동체는 이 불의에 맞서 싸우기로 결심했고, 저는 그들을 돕기 위해 지도자로 나서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시작했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버스를 타지 않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우리의 존엄성을 되찾기 위한 평화로운 저항이었습니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우리는 381일 동안 수 마일을 걸어서 출근하고 등교했습니다. 힘들고 지칠 때도 많았지만, 우리는 서로를 격려하며 함께했습니다. 발은 아팠지만 마음은 희망으로 가득 찼습니다. 우리는 함께 노래하고 기도하며, 언젠가는 이 부당한 장벽이 무너질 것이라는 믿음을 잃지 않았습니다. 이 긴 행진은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주었습니다. 단결된 사람들의 평화적인 힘이 얼마나 강력한지를 세상에 보여준 것입니다.

우리의 목소리는 몽고메리를 넘어 미국 전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그리고 1963년 8월 28일, 우리는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했습니다. 바로 '직업과 자유를 위한 워싱턴 행진'입니다. 그날 링컨 기념관 앞에는 믿을 수 없는 광경이 펼쳐졌습니다. 2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흑인과 백인,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하나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함께했습니다. 그 거대한 인파 앞에 섰을 때, 제 어깨에는 무거운 책임감이 느껴졌지만, 가슴은 벅찬 희망으로 뛰었습니다. 저는 마이크 앞에 서서 제 마음속 깊은 곳에 있던 꿈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제 아이들이 피부색이 아니라 인격으로 평가받는 나라에서 살게 되는 꿈, 조지아의 붉은 언덕에서 노예의 후손과 노예 주인의 후손이 형제처럼 손을 잡고 나란히 앉는 꿈에 대해 말입니다. 저는 군중의 눈에서 희망의 빛을 보았고, 제 목소리가 수백만 명의 마음속에 잠자고 있던 정의에 대한 갈망을 깨우고 있음을 느꼈습니다. 그날의 연설은 저 혼자만의 외침이 아니었습니다. 그 자리에 모인 모든 이들의 꿈이자, 더 나은 미국을 향한 우리 모두의 약속이었습니다.

워싱턴 행진의 함성은 결실을 보았습니다. 1964년에는 공공장소에서 인종차별을 금지하는 '민권법'이, 1965년에는 모든 시민의 투표권을 보장하는 '투표권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함께 이뤄낸 위대한 승리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것이 끝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법이 바뀌었지만,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이 뿌리내린 편견을 바꾸는 데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진정한 평등을 향한 여정은 계속되어야 했습니다. 저의 꿈은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서로에게 친절을 베풀고, 불의에 맞서 용감하게 목소리를 내고,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이 될 때, 그 꿈은 계속해서 이어질 것입니다. 기억해 주세요. 어둠은 어둠으로 몰아낼 수 없습니다. 오직 빛만이 어둠을 몰아낼 수 있습니다. 증오는 증오로 몰아낼 수 없습니다. 오직 사랑만이 증오를 몰아낼 수 있습니다. 여러분 각자가 그 빛과 사랑이 되어주세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문제는 로자 파크스가 버스에서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부당한 요구를 거부했다가 체포된 것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흑인 공동체와 인종차별적인 버스 규정 사이의 갈등이 생겼습니다. 해결 과정으로, 흑인 공동체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지도 아래 381일 동안 버스 타기를 거부하는 평화적인 저항을 했습니다. 결국 이들의 단결된 노력으로 버스 내 인종 분리 정책이 위헌이라는 판결을 받아내며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Answer: 그는 25만 명의 군중 앞에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지만, 동시에 가슴 벅찬 희망으로 가득 찼습니다. 이야기에서 '제 어깨에는 무거운 책임감이 느껴졌지만, 가슴은 벅찬 희망으로 뛰었습니다'라고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그의 꿈이 실현될 수 있다는 기대감과 많은 사람들을 이끌어야 한다는 부담감을 동시에 느꼈음을 보여줍니다.

Answer: '비폭력'은 '아닐 비(非)'와 '폭력(暴力)'이 합쳐진 말로, 폭력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에서 사람들은 부당한 법에 맞서면서도 폭력적인 방법을 쓰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들은 381일 동안 묵묵히 걷고, 서로를 격려하며, 노래와 기도로 단결하는 평화로운 방법으로 저항하여 자신들의 뜻을 세상에 알렸습니다.

Answer: 이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부당함에 맞서는 용기와 평화적인 방법의 힘을 배울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의 용기 있는 행동이 많은 사람들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목표를 위해 단결하면 폭력 없이도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교훈을 줍니다.

Answer: 그의 '꿈'은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대우받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었고,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과 워싱턴 행진은 그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이었습니다. 꿈이 단지 생각에 머무르지 않고, 행동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민권법 제정과 같은 실질적인 사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즉, 행동은 꿈을 이루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