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이야기
안녕, 내 이름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란다. 나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자랐어. 내가 어렸을 때 세상에는 아주 불공평한 규칙들이 많았단다. 그 규칙들은 사람들을 피부색에 따라 나누었는데, 이걸 '인종 분리'라고 불렀지. 예를 들면, 흑인 아이들은 백인 아이들과 다른 학교에 다녀야 했고, 같은 식당이나 공원도 이용할 수 없었어. 나에게는 아주 친한 백인 친구가 있었는데, 어느 날 그 친구의 부모님이 더 이상 나와 놀면 안 된다고 말했단다. 단지 내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말이야. 그날 나는 너무 슬프고 혼란스러웠어. 왜 피부색 때문에 친구가 될 수 없는 걸까. 바로 그 순간, 나는 모든 사람이 공평하게 대우받는 세상을 만들어야겠다고 마음먹었단다. 이 불공평한 규칙들을 바꾸고 싶다는 강한 열망이 내 마음속에서 싹트기 시작했지.
나는 자라서 목사가 되었고, 사람들에게 사랑과 희망에 대해 이야기했어. 그러던 중 인도의 위대한 지도자 마하트마 간디에 대해 알게 되었지. 그는 주먹이나 무기를 쓰지 않고도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어. 바로 '비폭력 저항'이라는 평화로운 방법이었지. 나는 이 생각에 깊은 감명을 받았어. 불의에 맞서 싸우되, 결코 미움이나 폭력에 의지하지 않는 거야. 우리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용기와 사랑, 그리고 우리의 목소리라고 믿었단다. 1955년, 로자 파크스라는 용감한 아주머니가 버스에서 흑인이라는 이유로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부당한 요구를 거부했어. 이 사건을 계기로 우리는 몽고메리에서 버스 안 타기 운동을 시작했지. 일 년 넘게, 우리는 버스를 타는 대신 걷거나 서로 차를 태워주며 함께했어. 힘들었지만, 우리는 평화롭게 뭉쳤고 마침내 버스에서의 불공평한 규칙을 바꿀 수 있었단다. 이 일은 우리에게 평화로운 힘이 얼마나 강력한지 보여주는 첫걸음이었어.
우리의 목소리는 점점 더 커졌고, 더 많은 사람들이 평등한 세상을 위한 우리의 꿈에 함께하기 시작했어. 그리고 1963년 8월 28일, 정말 잊을 수 없는 날이 찾아왔단다. 바로 '워싱턴 대행진'이 열린 날이지. 그날 워싱턴 D.C.에는 2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모였어. 흑인, 백인, 아시아인, 다양한 사람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여 하나의 목소리를 냈지. 그들의 얼굴에는 희망과 결의가 가득했어. 나는 링컨 기념관 계단에 서서 그 거대한 인파를 바라보았어. 내 심장은 벅차게 뛰었지. 나는 마이크 앞에 서서 내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꿈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어. "저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고 외쳤지. 내 꿈은 언젠가 나의 네 아이들이 피부색으로 판단받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인격과 성품으로 평가받는 나라에 살게 되는 것이었어. 모든 어린이가 함께 손을 잡고 놀 수 있는, 그런 세상을 꿈꾼다고 말했단다. 그날 나의 연설은 단지 나의 꿈이 아니라, 그곳에 모인 모든 사람들의 꿈이었어.
우리의 평화로운 행진과 간절한 외침은 헛되지 않았어. 우리의 목소리는 미국의 대통령과 국회의원들에게까지 닿았지. 마침내 1964년에는 공공장소에서 피부색을 이유로 사람을 차별할 수 없게 하는 '민권법'이 만들어졌고, 1965년에는 모든 흑인들이 자유롭게 투표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투표권법'이 통과되었단다. 이것은 정말 큰 변화였어. 우리가 함께 꾸었던 꿈이 현실이 되기 시작한 거야. 물론, 세상을 완전히 바꾸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린단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가 함께 시작했다는 사실이야. 돌아보면, 그 모든 순간들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바꾸는 데 기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 친절과 공정함을 위한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어. 그리고 이 꿈을 계속 이어나가는 힘은 바로 너희들, 어린이들에게 있단다. 모든 사람을 사랑과 존중으로 대하는 것, 그것이 바로 꿈을 살아있게 하는 방법이란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