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기의 이야기

안녕, 나는 투석기야. 내 이야기는 돌과 나무, 그리고 하나의 위대한 아이디어에서 시작돼. 인간이 팔로 던질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멀리, 더 강하게 무언가를 던져야 할 필요성에서 태어났지. 때는 기원전 399년경, 고대 시칠리아 섬의 번화한 도시 시라쿠사였어. 그곳의 통치자였던 디오니시우스 1세는 큰 고민에 빠져 있었지. 그의 적들은 높고 두꺼운 성벽 뒤에 숨어 있었고, 그의 군대는 그저 성벽을 바라보며 발만 동동 구를 뿐이었어. 공성전은 지루하고, 위험하며, 끝이 보이지 않는 싸움이었지. 병사들은 사다리를 타고 성벽을 오르려다 뜨거운 기름 세례를 받거나, 무거운 공성추로 성문을 부수려다 수많은 화살을 맞고 쓰러졌어. 디오니시우스 1세는 생각했지. "이 벽을 무너뜨릴 방법은 없을까? 인간의 힘을 뛰어넘는, 하늘에서 돌벼락을 내리꽂을 수 있는 그런 무언가가 필요해!" 그래서 그는 제국 전역에서 가장 똑똑한 기술자, 발명가, 장인들을 불러 모았어. 그는 그들에게 단 하나의 과제를 주었지. 바로 성벽을 파괴할 수 있는 새로운 기계를 만드는 것이었어. 내가 태어나기 전 세상은 단단한 방어벽 앞에서 인간의 공격이 얼마나 무력한지를 뼈저리게 느끼고 있었단다.

나의 탄생은 간단하지 않았어. 처음 내 모습은 거대한 활, 즉 '가스트라페테스'라고 불리는 배에 거치하는 쇠뇌와 비슷했지. 이것도 꽤 강력했지만, 두꺼운 돌벽을 부수기에는 역부족이었어. 기술자들은 밤낮으로 머리를 맞대고 고민했지. 어떻게 하면 더 큰 힘을, 폭발적인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그러던 어느 날, 한 천재적인 기술자가 비틀림의 힘, 즉 '토션'을 발견했어. 동물의 힘줄이나 머리카락으로 만든 굵은 밧줄을 꼬고 또 꼬아서 그 안에 엄청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이었지. 이것이 바로 내 심장이 되었어. 그들은 튼튼한 참나무로 내 뼈대를 만들고, 이 강력한 힘줄 밧줄을 내 양팔에 연결했지. 나는 거대한 나무와 팽팽한 힘줄로 태어난 존재가 된 거야. 처음 나를 시험하던 날을 잊을 수 없어. 병사들이 거대한 지렛대를 돌려 내 팔을 뒤로 당길 때마다, 내 온몸의 나무가 삐걱거렸고, 꼬인 힘줄은 금방이라도 터져버릴 듯 팽팽하게 긴장했어. "발사!"라는 외침과 함께 나를 고정하던 빗장이 풀리는 순간, 내 안에 응축되었던 모든 분노가 터져 나왔지. '쾅!'하는 굉음과 함께 내 팔은 무시무시한 속도로 앞으로 튕겨 나갔고, 바구니에 담겨 있던 커다란 돌덩이는 마치 새처럼 하늘로 솟구쳐 날아갔어. 모두가 숨을 죽이고 지켜봤지. 돌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 수백 미터 떨어진 목표물에 정확히 명중했고, 산산조각을 내버렸어. 그 순간, 전쟁의 역사는 바뀌었단다.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와 그의 아들인 위대한 알렉산더 대왕은 나의 진가를 바로 알아보았지. 그들은 나를 데리고 수많은 도시를 정복했고, 나는 곧 전장에서 가장 두려운 존재가 되었어.

나의 여정은 시라쿠사에서 끝나지 않았어. 나는 로마 제국과 함께 전 세계로 퍼져나갔지. 로마인들은 나를 정말 좋아해서, 더 효율적이고 강력하게 개량했어. 그들은 나에게 '오나거'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는데, 이는 '야생 당나귀'라는 뜻이야. 내가 돌을 발사할 때 뒷발길질을 하는 당나귀처럼 격렬하게 튀어 올랐기 때문이지. 로마 군단이 가는 곳이라면 어디든 내가 함께했고, 수많은 요새와 성벽을 무너뜨리며 제국 건설의 일등 공신이 되었어. 시간이 흘러 중세 시대가 되자, 나에게는 아주 강력한 사촌이 생겼단다. 바로 '트레뷰셋'이라는 거대한 투석기야. 트레뷰셋은 나의 토션 방식과는 조금 다르게 작동했어. 한쪽 끝에 엄청나게 무거운 추를 매달고, 그 추가 떨어지는 힘을 이용해서 반대쪽 끝에 있는 돌을 던지는 방식이었지. 이 녀석은 나보다 훨씬 더 무거운 바위, 심지어는 불타는 기름 단지나 병든 동물의 사체까지도 성 안으로 날려 보낼 수 있었어. 질병을 퍼뜨리려는 무서운 생각이었지. 비록 작동 방식은 달랐지만, 우리는 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공성전의 왕으로 군림했어. 나는 시대의 필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적응하며 나의 자리를 지켰단다.

하지만 영원한 것은 없었지. 어느 날, '화약'이라는 시끄럽고 냄새나는 녀석이 등장했어. 화약으로 만든 대포는 나보다 훨씬 더 파괴적이고 정확했지. 결국 나는 조용히 역사의 무대에서 퇴장해야 했어. 나는 더 이상 전쟁터에서 포효하지 않지만, 나의 영혼과 원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단다. 내가 사용했던 지렛대의 원리, 위치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바꾸는 방식, 그리고 포물선 운동의 법칙은 현대 공학의 기초가 되었어. 너희들이 가지고 노는 새총, 수영장의 다이빙 보드, 심지어 항공모함에서 전투기를 이륙시키는 시스템에도 나의 정신이 깃들어 있지. 나는 단순한 무기가 아니었어. 나는 인간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낳은 위대한 아이디어였고, 좋은 아이디어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란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그의 군대가 적의 높고 두꺼운 성벽을 공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공성전 방식은 느리고 위험했으며 효과가 적었기 때문에, 인간의 힘을 뛰어넘어 성벽을 파괴할 수 있는 강력한 기계가 필요했습니다.

Answer: 이 표현은 투석기가 동물의 힘줄 같은 탄력 있는 밧줄을 매우 팽팽하게 꼬아서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그 꼬임이 풀리면서 발생하는 폭발적인 힘을 이용해 돌을 발사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즉, '토션(비틀림)'이라는 원리를 사용했음을 의미합니다.

Answer: 이 이야기는 하나의 위대한 아이디어나 발명품이 역사를 바꿀 수 있다는 것과, 비록 형태는 변하더라도 그 안에 담긴 과학적 원리와 정신은 오랫동안 살아남아 후대에 영향을 미친다는 교훈을 줍니다.

Answer: 투석기가 해결해야 했던 주요 문제는 '견고한 성벽을 효과적으로 파괴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문제는 인간의 힘을 훨씬 뛰어넘는 파괴력을 만들어내는 '토션(비틀림)' 원리를 이용하여 해결했습니다. 힘줄 밧줄을 꼬아 저장된 에너지를 폭발적으로 방출시켜 무거운 돌을 멀리, 강하게 던질 수 있게 된 것입니다.

Answer: 새총(탄성 에너지를 이용), 다이빙 보드(휘어지며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선수를 튕겨냄), 항공모함의 비행기 발사 시스템(강력한 힘으로 비행기를 밀어줌)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