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와 별의 바다, 사하라의 이야기

나는 끝없이 펼쳐진 황금빛 모래의 바다란다. 낮에는 태양이 내 모래를 따뜻하게 데우고, 밤에는 수많은 별들이 담요처럼 나를 뒤덮지. 바람이 불면 내 모래 언덕은 마치 파도처럼 부드럽게 움직여. 사람들은 내 위를 걸으며 발밑에서 느껴지는 부드러운 감촉과 끝없는 고요함에 놀라워한단다. 어떤 이들은 내가 텅 비어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내 안에는 수천 년의 비밀이 숨겨져 있어. 낮에는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고 밤에는 하늘의 별들이 그 어떤 곳보다 반짝이는 이곳, 나는 바로 사하라 사막이야.

하지만 나에게는 푸른 비밀이 하나 있단다. 아주 오래전, 약 11,000년 전부터 5,000년 전까지 나는 지금과 같은 사막이 아니었어. 나는 푸른 풀이 자라는 초원이었고, 거대한 호수와 강이 흐르는 땅이었지. 그때는 기린, 코끼리, 하마 같은 동물들이 내 땅 위를 자유롭게 뛰어다녔어. 사람들도 이곳에 살면서 사냥을 하고 물고기를 잡으며 행복하게 지냈단다. 그들은 타실리 나제르 같은 곳에 있는 바위에 자신들의 삶을 아름다운 그림으로 남겨 놓았어. 하지만 아주 천천히 지구의 기울기가 바뀌면서 비가 예전만큼 내리지 않게 되었지. 강은 마르고 호수는 사라졌으며, 푸른 초원은 점차 오늘날 너희가 아는 황금빛 모래로 변했단다.

내가 건조한 사막으로 변한 뒤, 사람들은 나를 건널 수 없는 장벽이라고 생각했어. 하지만 나는 사람들을 갈라놓는 곳이 아니라, 서로를 이어주는 길이 되었단다. 8세기경부터 수백 년 동안, 거대한 낙타 행렬인 '카라반'이 내 위를 가로질렀어. 그들은 용감한 투아레그족의 안내를 받았지. 투아레그 사람들은 별과 모래 언덕을 보고 길을 찾는 전문가였어. 카라반은 남쪽 나라에서 가져온 반짝이는 금과 내 마음속 깊은 곳에서 캐낸 귀한 소금을 실어 날랐단다. 이 위대한 교역 덕분에 아프리카의 여러 문화가 서로 만날 수 있었고, 팀북투 같은 도시는 지식과 부가 넘치는 놀라운 중심지가 될 수 있었지.

오늘날에도 나는 여전히 모험과 발견의 땅이란다. 과학자들은 내 모래 아래 숨겨진 거대한 공룡 뼈를 찾아내고, 나의 기후를 연구하며 지구가 어떻게 변하는지 배우고 있어. 사람들은 이제 나의 강렬한 태양을 이용해 거대한 태양광 발전소를 세워 깨끗한 에너지를 만들기도 해. 나는 고대의 푸른 세상부터 미래의 에너지에 이르기까지, 끝없는 이야기를 품고 있는 곳이야. 나의 이야기는 가장 메마른 곳조차 생명과 역사, 그리고 놀라움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준단다. 나는 언제나 이곳에서 새로운 발견을 기다리고 있을게.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바위에 그려진 기린이나 하마 같은 동물들의 그림은 사하라 사막이 과거에 물과 풀이 많은 푸른 땅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Answer: 그들은 별과 모래 언덕만 보고도 사막에서 길을 잃지 않고 카라반을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Answer: 낙타를 타고 사막을 건너며 금이나 소금 같은 물건을 실어 나르던 상인들의 무리를 뜻합니다.

Answer: 지구의 기울기가 아주 서서히 변하면서 비가 예전처럼 많이 내리지 않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Answer: 첫째, 과학자들이 공룡 화석을 발견하거나 기후를 연구하며 지구에 대해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강한 햇빛을 이용해 태양광 발전소에서 깨끗한 에너지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