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밀리아 이어하트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어밀리아 이어하트예요. 저는 1897년 7월 24일, 캔자스주 애치슨에서 태어났어요. 제 어린 시절은 모험으로 가득했답니다. 제 여동생 뮤리엘과 저는 가만히 앉아있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어요. 저희는 뒷마당에 롤러코스터를 만들고, 동굴을 탐험하고, 곤충을 채집했죠. 그 당시 대부분의 여자아이들은 하지 않던 일이었어요. 하지만 저희는 그런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았어요. 제가 열 살 때 아이오와 주 박람회에서 처음으로 비행기를 봤던 기억이 나요. 솔직히 말해서, 처음에는 전혀 감명받지 않았어요. 그저 '녹슨 철사와 나무'로 만들어진 덜컹거리는 기계처럼 보였거든요. 그때는 그 기계가 언젠가 제 가장 큰 열정이 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 했죠. 그 순간은 제 인생에서 비행이 어떤 의미를 갖게 될지 암시하는 작은 씨앗에 불과했지만, 제 안에 있던 모험심은 이미 하늘을 향해 자라나고 있었어요.

제 인생이 영원히 바뀐 것은 1920년이었어요. 저는 스무 살이 넘어 캘리포니아의 한 비행장에서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보게 되었죠. 아버지가 저를 데려가 주셨는데, 10분간의 비행에 10달러를 내주셨어요. 비행기가 땅에서 몇백 피트 상공으로 솟아오르는 순간, 저는 깨달았어요. 저는 반드시 비행을 해야만 한다는 것을요. 그 순간의 자유와 경이로움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었어요.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저는 정말 열심히 일해야 했어요. 사진사, 트럭 운전사, 속기사 등 여러 가지 일을 하며 비행 수업료로 1,000달러를 모았죠. 제 첫 비행 교관은 최초의 여성 비행 교관 중 한 명이었던 네타 스눅이었어요. 그녀에게서 비행의 모든 것을 배웠죠. 마침내 저는 제 첫 비행기를 갖게 되었어요. 중고였지만 밝은 노란색의 복엽기였고, 저는 그 비행기에 '카나리아'라는 애칭을 붙여주었어요. 그 비행기를 타고 저는 제 첫 기록을 세웠답니다. 바로 여성 조종사로서 가장 높은 고도인 14,000피트까지 올라간 것이었죠. 제 날개가 돋아나는 순간이었어요.

제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계기는 1928년에 찾아왔어요. 저는 대서양을 횡단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죠. 하지만 솔직히 말하면, 그때 제 기분은 그리 좋지 않았어요. 저는 조종사가 아니라 그냥 승객이었거든요. 두 명의 남성 조종사가 모든 비행을 했고, 저는 '감자 자루처럼' 실려 갔을 뿐이었어요. 사람들은 저를 영웅으로 환호했지만, 저는 그 영광을 누릴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어요. 그 경험은 제게 강한 동기부여가 되었어요. 언젠가는 반드시 제 힘으로, 혼자서 대서양을 건너겠다고 다짐했죠. 그로부터 5년 후인 1932년 5월 20일, 저는 마침내 그 꿈을 이룰 준비를 마쳤어요. 저는 록히드 베가 비행기를 타고 뉴펀들랜드에서 이륙했어요. 비행은 결코 쉽지 않았어요. 혹독한 추위 때문에 날개에 얼음이 얼었고, 연료 계기가 고장 나고, 배기 다기관에 금이 가 불꽃이 튀기도 했어요. 정말 무서운 순간들이었지만, 저는 포기하지 않았어요. 약 15시간의 사투 끝에, 저는 아일랜드의 한 목초지에 무사히 착륙했답니다. 여성도 혼자서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세상에 증명한 순간이었죠.

저는 제 명성을 다른 여성들이 자신의 꿈을 좇도록 격려하는 데 사용하고 싶었어요. 비행 분야든 다른 어떤 분야든 상관없었어요. 저는 여성들이 사회가 정해놓은 한계에 갇히지 않고, 스스로의 가능성을 믿기를 바랐어요. 제 남편이 된 조지 퍼트넘은 출판업자였는데, 제가 책을 쓰고 강연을 하며 제 이야기를 세상과 나눌 수 있도록 많이 도와주었죠. 그는 제 가장 큰 지지자였어요. 그리고 저는 제 인생의 가장 큰 도전을 준비하기 시작했어요. 바로 세계 일주 비행에 성공한 최초의 여성이 되는 것이었죠. 이 엄청난 여정을 위해 저는 항해사 프레드 누넌과 팀을 이루었어요. 저희 비행기는 특별히 개조된 록히드 엘렉트라 10E였는데, 장거리 비행을 위해 추가 연료 탱크가 장착되어 있었죠. 1937년, 저희는 마이애미에서 출발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를 거쳐 뉴기니의 라에까지 날아왔어요. 이미 22,000마일 이상을 비행한 상태였고, 이제 남은 것은 거대한 태평양을 건너는 일뿐이었어요. 설렘과 위험이 공존하는 여정이었죠.

1937년 7월 2일, 저희는 다음 목적지인 아주 작은 하울랜드섬을 향해 이륙했어요. 그것이 저의 마지막 비행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죠. 저희는 비행 중에 지상 기지국과 무선 교신을 주고받았지만, 어느 순간 교신이 끊기고 말았어요. 거대한 태평양 한가운데서 저희는 길을 잃었고, 대대적인 수색 작업에도 불구하고 저희 비행기와 저희는 끝내 발견되지 않았어요. 제 마지막 이야기는 미스터리로 남아있죠. 조금 슬프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저는 여러분이 제가 어떻게 사라졌는지로 저를 기억하지 않았으면 해요. 저의 진정한 유산은 모험의 정신 그 자체에 있다고 믿어요. 제 이야기가 여러분에게 자신만의 수평선을 좇고, 스스로의 한계를 넘어서고, 아무리 멀어 보이는 꿈이라도 그 꿈을 향해 날아갈 용기를 갖게 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요. 가장 중요한 여정은 바로 여러분 자신의 꿈을 향한 여정이니까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어밀리아는 비행 중 날개에 얼음이 얼고, 연료 계기가 고장 나고, 배기 다기관에 금이 가는 등 여러 위험한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포기하지 않고 약 15시간의 비행 끝에 아일랜드의 한 목초지에 무사히 착륙하여 여성 최초의 대서양 단독 횡단에 성공했습니다.

Answer: 그녀는 직접 비행기를 조종한 것이 아니라 남성 조종사들이 조종하는 비행기에 승객으로 탔기 때문에 그렇게 느꼈습니다. 이 경험은 그녀가 자신의 힘으로 직접 대서양을 횡단하겠다는 강한 결심을 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Answer: 어밀리아의 이야기는 사회가 정해놓은 한계나 어려움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꿈을 향해 용감하게 도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가르쳐 줍니다. 또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모험 정신이 얼마나 위대한 성취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Answer: 어밀리아는 여동생과 함께 롤러코스터를 만들고 동굴을 탐험하는 등 매우 활동적이고 모험심이 강한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그녀가 당시 여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용감하고 독립적인 사람으로 성장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Answer: '모험의 정신'이란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보다 호기심을 갖고,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새로운 목표에 도전하는 마음가짐을 의미합니다. 어밀리아는 여성 조종사가 드물었던 시대에 비행에 도전했고, 대서양 단독 횡단과 세계 일주 비행 같은 위험한 목표를 세우고 실행에 옮김으로써 평생에 걸쳐 이러한 모험의 정신을 몸소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