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움직이는 비밀 친구, 마찰
추운 날 두 손을 비비면 왜 따뜻해지는지 궁금해 본 적 있니? 아니면 잔디밭에서 힘껏 찬 축구공이 왜 스르르 멈추는지, 나무에 오를 때 손과 발에 힘을 꽉 줘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본 적 있어? 안녕. 나는 너희가 매일 만나는 비밀스러운 힘이야. 나는 보이지 않지만, 너희가 걷고, 달리고, 멈출 때마다 항상 함께하지. 심지어 연필을 잡고 글씨를 쓸 때도 내가 도와주는 거란다. 내가 없으면 세상은 아주 미끄럽고 이상한 곳이 될 거야. 나는 마치 마법 같지만, 사실은 아주 중요한 과학이란다. 내 이름이 궁금하지 않니? 나는 바로 너희의 모든 움직임을 도와주는 숨은 조력자야.
내 이름은 바로 마찰이야. 놀랐지?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은 내가 있다는 건 알았지만, 내가 어떤 규칙으로 움직이는지는 잘 몰랐어. 그냥 물건들이 서로 닿으면 무언가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이 생긴다고만 생각했지. 그러다 아주 오래전, 1493년쯤에 레오나르도 다빈치라는 정말 호기심 많고 똑똑한 예술가이자 발명가가 나에 대해 궁금해하기 시작했어. 그는 “왜 무거운 상자를 미는 게 가벼운 상자를 미는 것보다 더 힘들까?” 하고 생각했지. 그는 나무 블록을 여러 표면 위에서 끌어당기면서 내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림으로 남기고 실험을 했단다. 그 덕분에 사람들은 나에 대해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했어. 시간이 흘러 기욤 아몽통(1699년)과 샤를 드 쿨롱(1785년) 같은 과학자들이 나타나서 나의 비밀을 더 명확하게 밝혀냈지. 그들은 내가 물체의 크기나 넓이와는 상관없이, 물체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재질)와 얼마나 세게 서로를 누르고 있는지(수직력)에 따라 달라진다는 멋진 규칙을 발견했어. 예를 들어, 고무 밑창 신발이 얼음 위에서보다 아스팔트 위에서 더 잘 멈추는 건 바로 나, 마찰력 때문이야.
만약 내가 없다면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상상만 해도 아찔할걸. 아침에 일어나 침대에서 내려오는 순간, 쭈르륵 미끄러져 멈출 수가 없을 거야. 신발 끈을 묶으려고 해도 매듭이 스르르 풀려버리고, 자동차는 브레이크를 밟아도 멈추지 않고 영원히 미끄러져 갈지도 몰라. 세상은 온통 뒤죽박죽 혼돈스러운 아이스링크장처럼 변해버릴 거야. 내가 가끔은 물건을 느리게 만들거나 닳게 해서 귀찮게 느껴질 수도 있어. 하지만 나는 사실 너희에게 통제력을 선물하는 아주 중요한 힘이란다. 내가 있기에 너희는 힘차게 땅을 박차고 달릴 수 있고, 원하는 곳에서 정확히 멈출 수 있는 거야. 나는 세상을 붙잡아주는 끈끈한 힘이란다. 그러니 다음에 걸을 때, 발바닥이 땅에 닿는 그 느낌을 기억해 줘. 그게 바로 나, 마찰이 너를 안전하게 붙잡아주고 있다는 신호니까.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