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보이지 않는 포옹

나를 느껴본 적 있나요. 나는 여러분의 발이 땅에 단단히 붙어있게 하고, 잠시 손에서 놓친 연필이 바닥으로 향하게 하는 이유랍니다. 나는 밤하늘의 달이 외롭지 않게 지구 곁을 맴돌도록 지켜주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끝없이 춤추게 하는 보이지 않는 끈이죠. 사람들은 아주 오랫동안 나를 이해하려고 애썼어요. 왜 모든 것은 아래로 떨어질까. 무엇이 행성들을 길 잃지 않게 붙잡아 둘까. 나는 우주의 가장 오래된 비밀이자, 변함없는 포옹이에요.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여러분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우주가 존재하는 모든 곳에서 함께하고 있죠. 나는 모든 것을 제자리에 있게 하고, 모든 것을 함께 묶어주는 힘이랍니다. 여러분은 나를 중력이라고 불러요.

아주 오랫동안 인간들은 나의 비밀을 추측하려고 노력했어요.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라는 현명한 사람은 기원전 384년경에 내가 무거운 물체를 더 좋아해서 더 빨리 끌어당긴다고 생각했어요. 무거운 돌이 가벼운 깃털보다 먼저 땅에 닿는 것을 보면 그럴듯하게 들렸죠. 그의 생각은 거의 2000년 동안이나 사람들에게 진실처럼 여겨졌어요. 하지만 1589년경 이탈리아의 호기심 많은 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나타나면서 모든 것이 바뀌기 시작했죠. 그는 내가 모든 물체를 똑같이 대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는 서로 다른 무게의 공을 떨어뜨리는 실험을 통해 공기의 저항만 없다면 모든 물체는 같은 속도로 떨어진다는 것을 증명했어요. 이것은 나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꾼 위대한 발견이었죠. 하지만 나의 진정한 모습을 꿰뚫어 본 사람은 조용하고 사려 깊은 아이작 뉴턴이었어요. 1687년 어느 날, 그가 사과나무 아래 앉아 생각에 잠겨 있을 때, 사과 하나가 그의 앞으로 툭 떨어졌어요. 바로 그 순간, 뉴턴은 엄청난 깨달음을 얻었죠. 사과를 땅으로 끌어당기는 힘과 달을 지구 궤도에 머물게 하는 힘이 바로 같은 나, 중력이라는 것을요. 그는 이것을 '만유인력의 법칙'이라고 불렀어요. 이 작은 사과 하나가 우주 전체를 지배하는 나의 규칙을 인간에게 알려준 셈이죠. 그의 발견 덕분에 사람들은 행성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우주의 질서를 이해하기 시작했어요.

모두가 뉴턴 덕분에 나에 대해 거의 다 알게 되었다고 생각했을 때, 또 다른 위대한 천재가 나타났어요. 그의 이름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었죠. 1915년경, 그는 사람들이 상상도 못 했던 방식으로 나를 설명했어요. 그의 생각은 뉴턴이 틀렸다는 것이 아니라, 더 크고 깊은 그림을 보여주는 것이었어요. 우주가 거대하고 신축성 있는 고무판이라고 상상해 보세요. 아인슈타인은 이것을 '시공간'이라고 불렀어요. 이제 그 고무판 위에 무거운 볼링공, 예를 들면 태양 같은 별을 올려놓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볼링공 때문에 고무판이 움푹 패이겠죠. 그 움푹 패인 공간의 휘어짐이 바로 여러분이 느끼는 나, 중력이라는 거예요. 행성들은 그저 태양이 만들어 놓은 시공간의 굽은 길을 따라 굴러가고 있을 뿐이죠. 이것이 바로 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이에요. 이 놀라운 아이디어는 별빛이 거대한 별 옆을 지날 때 휘어지는 현상처럼 뉴턴의 생각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웠던 우주의 미스터리들을 풀어주었어요. 아인슈타인은 나를 단순한 '힘'이 아니라, 우주라는 공간 자체가 가진 속성으로 보게 해 주었답니다.

은하계를 하나로 묶어두는 거대한 일부터 여러분의 아침 식사가 접시에 얌전히 놓여있게 하는 작은 일까지, 나는 항상 여기에 있어요. 내가 바로 지구가 여러분이 숨 쉴 수 있는 대기를 붙잡아 둘 수 있는 이유이고, 수많은 가스와 먼지가 모여 빛나는 별과 행성을 만드는 이유랍니다. 나는 모든 것을 연결하고, 세상을 만드는 힘이에요. 그러니 밤하늘의 별을 올려다볼 때면 나를 기억해 주세요. 나는 여러분이 우주를 탐험하고 미래를 꿈꿀 수 있게 하는 조용한 힘이니까요. 나는 여러분의 영원한 동반자이며, 우주의 모든 아름다운 춤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규칙이랍니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중력은 자신을 '보이지 않는 포옹' 또는 '보이지 않는 끈'이라고 묘사했습니다. 연필을 바닥으로 떨어지게 하고, 달이 지구 주위를 돌게 하며,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게 하는 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람들은 오랫동안 이 힘의 정체를 궁금해했습니다.

Answer: 뉴턴은 사과를 땅으로 끌어당기는 힘과 달을 지구 궤도에 머물게 하는 힘이 똑같은 '중력'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발견은 '만유인력의 법칙'으로 이어졌고, 이야기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 덕분에 사람들은 행성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우주의 질서를 이해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매우 중요했습니다.

Answer: 이 이야기는 하나의 진리를 이해하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호기심을 갖고 노력했다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과학적 지식은 한 번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전 사람의 생각에 새로운 생각을 더하고 질문을 던지면서 점차 발전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Answer: 작가는 '시공간의 휘어짐'이라는 매우 어렵고 추상적인 개념을 아이들이 이해하기 쉬운 이미지로 설명하기 위해 '거대한 고무판' 비유를 사용했습니다. 무거운 물체가 고무판을 움푹 들어가게 만드는 것처럼, 질량이 시공간을 휘게 만들고 그 길이 바로 중력이라는 것을 시각적으로 상상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Answer: 뉴턴은 중력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반면 아인슈타인은 중력을 질량이 시공간을 휘게 만들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 즉 공간 자체의 속성이라고 보았습니다. 아인슈타인의 발견이 뉴턴의 생각을 완전히 틀렸다고 하지 않은 이유는, 일상적인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뉴턴의 법칙이 여전히 매우 정확하게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우주 전체나 매우 거대한 질량 근처와 같은 극한 상황까지 설명할 수 있는, 더 포괄적이고 깊은 차원의 설명이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