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양을 바꾸는 수수께끼, 물질 이야기
나는 때로는 장난감 블록처럼 단단하고, 때로는 거대한 산처럼 꼼짝도 하지 않아요. 내 몸에 기어오르거나 나를 쌓아 올릴 수도 있죠. 하지만 나는 컵에 담긴 주스처럼 흘러내리기도 하고, 거대한 강이 되어 바다로 향하기도 해요. 내 모습은 정해져 있지 않아서 어떤 그릇에 담기느냐에 따라 모양이 바뀌죠. 심지어 나는 찻주전자에서 나오는 김처럼 눈에 보이지 않게 공기 중으로 흩어지기도 해요. 여러분이 쉬는 숨결 속에도 내가 있고, 방 안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도 바로 나랍니다. 이렇게 한 가지 존재가 어떻게 단단한 고체가 되기도 하고, 흐르는 액체가 되기도 하고, 보이지 않는 기체가 될 수 있는지 궁금해 본 적 있나요. 그 비밀을 이제부터 들려줄게요.
아주 오래전, 고대 그리스에 살던 똑똑한 사람들은 나에 대해 궁금해하기 시작했어요. 데모크리토스라는 철학자는 모든 것이 더는 쪼갤 수 없는 아주 작은 알갱이, 즉 '원자'로 이루어져 있을 거라고 상상했죠. 정말 놀라운 생각이었어요. 수천 년이 흐른 뒤, 과학자들은 현미경과 여러 실험 도구를 이용해 그 상상이 사실이라는 것을 밝혀내기 시작했어요. 앙투안 라부아지에라는 위대한 과학자는 물이 사실 두 종류의 다른 기체로 이루어져 있다는 엄청난 사실을 발견했답니다. 사람들이 늘 마시는 물이 기체로 만들어졌다니, 정말 신기하죠. 그렇다면 내 모습을 바꾸는 비밀 스위치는 대체 무엇일까요. 바로 '온도'랍니다. 나를 이루는 작은 입자들은 사실 가만히 있지 않고 항상 조금씩 움직이고 있어요. 열을 가해 온도를 높이면, 이 입자들은 에너지를 얻어 신나게 춤을 추기 시작해요. 꽁꽁 언 얼음일 때 나의 입자들은 마치 붐비는 댄스 플로어에서 서로 꽉 붙어 제자리에서 떨기만 하는 사람들 같아요. 이것이 바로 고체 상태죠. 온도가 올라가 물이 되면, 입자들은 조금 더 자유롭게 움직이며 서로의 옆을 스쳐 지나가요. 댄스 플로어에서 자리를 바꿔가며 춤을 추는 것과 비슷하죠. 이게 바로 액체 상태예요. 온도를 더 높여서 물을 끓이면, 내 입자들은 너무 신이 나서 사방팔방으로 튀어 다니며 날아다녀요. 댄스 플로어를 벗어나 온 방 안을 날아다니는 사람들처럼요. 이것이 바로 기체인 수증기랍니다.
나는 여러분 주변 어디에나 있어요. 아침에 먹는 빵과 과일은 나의 고체 모습이고, 마시는 우유와 주스는 나의 액체 모습이죠. 그리고 여러분이 매 순간 숨 쉬는 공기는 나의 기체 모습이랍니다. 여러분이 사용하는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예요. 단단한 케이스는 고체이고, 화면을 채우는 액정은 특별한 액체 상태죠. 이처럼 사람들은 나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하고 활용해서 튼튼한 다리를 만들고, 맛있는 음식을 요리하고, 심지어 우주로 나아가는 로켓을 만들기도 해요. 나를 이해하는 것은 세상의 비밀을 푸는 열쇠와 같아요. 나는 이 세상 모든 것을 이루는 기본 재료이니까요. 나의 비밀을 알게 된 여러분은 앞으로 어떤 놀라운 것들을 만들고 발견하게 될까요. 상상만 해도 정말 기대되지 않나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