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보여주는 마법 상자, 텔레비전
안녕. 내 이름은 텔레비전이야. 내가 없던 세상을 한번 상상해 볼래. 그 시절에는 오직 라디오를 통해서만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단다. 온 가족이 라디오 주위에 모여 앉아 귀를 기울이는 모습은 정말 신나는 일이었지. 하지만 모두의 마음속에는 한 가지 커다란 궁금증이 있었어. '소리뿐만 아니라 그림도 함께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바로 그때, 세상 사람들의 꿈이 모여 내가 태어날 준비를 하고 있었어. 나는 전 세계의 움직이는 그림들을 보여줄 수 있는 마법 상자였지. 사람들이 소파에 편안히 앉아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나는 일을 생생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그런 놀라운 발명품 말이야.
나를 현실로 만들어준 똑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줄게. 먼저, 스코틀랜드에서 온 존 로지 베어드라는 영리한 아저씨가 있었어. 1925년, 그는 구멍 뚫린 원판을 빠르게 돌려서 처음으로 희미하게 깜빡이는 내 모습을 만들어냈지. 그건 마치 유령을 보는 것처럼 흐릿한 이미지였지만, 세상을 바꿀 위대한 첫걸음이었어. 그 후, 미국에서는 필로 판스워스라는 젊은 농장 소년이 등장했단다. 판스워스는 쟁기질로 밭에 생긴 곧은 줄무늬를 보다가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어. 그는 회전하는 원판 대신, 전기를 이용해서 그림을 한 줄 한 줄 보내는 방법을 생각해 낸 거야. 정말 기발하지 않니. 1927년, 마침내 그가 자신의 발명품을 세상에 선보이는 날이 왔어. 그가 처음으로 보여준 화면에는 고작 가느다란 직선 하나뿐이었지만, 그것은 순전히 전기로만 만들어낸 최초의 이미지였기 때문에 진짜 마법처럼 보였단다. 그 작은 선 하나가 오늘날 너희가 보는 선명하고 화려한 텔레비전 화면의 시작이었던 셈이지.
나는 단순한 과학 실험 도구에서 벗어나 전 세계 모든 가정의 소중한 가족 구성원이 되었어. 사람들은 나를 통해 소파에 앉아서도 아주 놀라운 장면들을 볼 수 있게 됐지. 영국의 여왕이 왕관을 쓰는 장엄한 대관식을 지켜보기도 하고, 1969년에는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순간 중 하나인 우주비행사가 달 위를 걷는 모습을 생중계로 지켜보기도 했어. 나는 실시간으로 역사가 만들어지는 순간에 모든 사람을 연결해주는 창문 역할을 했단다. 물론 지금의 내 모습은 예전과 많이 달라. 때로는 벽 전체를 채우는 거대한 스크린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너희 손안에 쏙 들어오는 작은 스마트폰이 되기도 하지. 하지만 내 모습이 어떻게 변하든 나의 중요한 임무는 늘 똑같아. 바로 사람들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새로운 세상을 보여주고, 모두를 더 가깝게 이어주는 것이란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