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에 새겨진 장밋빛 도시, 페트라 이야기

좁고 구불구불한 협곡을 따라 걷는다고 상상해 보세요. 양옆으로는 하늘 높이 솟은 붉고 분홍빛 사암 절벽이 소용돌이치는 무늬를 만들고 있어요. 햇빛이 겨우 스며드는 길의 끝에 무엇이 있을지 궁금해하며 발걸음을 옮기면, 갑자기 시야가 환해지죠. 그리고 바로 눈앞에, 바위 자체를 깎아 만든 거대하고 장엄한 건물이 나타납니다. 섬세한 조각과 기둥들이 햇빛을 받아 장미처럼 붉게 빛나요. 이 놀라운 광경에 숨을 죽이게 될 거예요. 저는 페트라, 시간의 절반만큼이나 오래된 장밋빛 붉은 도시입니다.

저를 만든 사람들은 나바테아인들이었어요. 그들은 약 기원전 312년부터 이곳에 자리를 잡았죠. 그들은 사막의 지혜로운 상인이자 뛰어난 기술자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왜 이렇게 깊숙이 숨겨진 곳에 수도를 세웠을까요? 바로 안전 때문이었어요. 좁은 협곡은 외부의 침입을 막아주는 천연 요새였거든요. 무엇보다 나바테아인들은 물을 다스리는 데 천재적이었어요. 그들은 바위에 수로를 파고 거대한 저수조를 만들어 빗물을 모았죠. 덕분에 척박한 사막 한가운데서도 푸른 정원을 가꾸고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갈 수 있었습니다. 저는 향신료와 유향을 실어 나르는 대상들의 중요한 교차로였어요. 수백 마리의 낙타 행렬이 동방의 귀한 물건들을 싣고 제게로 와서 쉬어가고, 다시 서쪽으로 떠났죠. 제 거리는 온갖 언어와 활기찬 흥정 소리로 가득했습니다.

서기 106년, 제게 새로운 시대가 열렸어요. 강력한 로마 제국이 저를 찾아왔죠. 처음에는 변화가 두렵기도 했지만, 로마인들은 파괴자가 아니라 새로운 친구들이었어요. 그들은 저의 나바테아 양식에 자신들의 건축 기술을 더했답니다. 기둥이 늘어선 멋진 거리, 수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한 극장, 그리고 웅장한 목욕탕이 생겨났죠. 두 문화가 어우러져 저는 더욱 화려하고 국제적인 도시로 발전했습니다. 하지만 영원한 것은 없었죠. 시간이 흐르면서 상인들은 바다를 통해 물건을 운반하는 더 빠르고 쉬운 길을 찾아냈어요. 제게 오던 낙타 행렬의 발길이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결정적으로, 서기 363년에 거대한 지진이 저를 덮쳤어요. 이 지진으로 저의 생명줄과도 같았던 정교한 수로 시스템이 크게 파괴되었죠. 물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저를 떠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제 화려했던 시간은 막을 내리고, 저는 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세상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혔습니다. 오직 이 지역을 떠도는 베두인족만이 저의 존재를 알고 조용히 저를 지켰죠. 제 텅 빈 무덤과 신전에는 바람 소리만이 맴돌았습니다. 그러던 1812년, 한 용감한 탐험가가 나타났어요. 그의 이름은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 스위스 사람이었죠. 그는 현지인으로 변장하고 잃어버린 도시에 대한 전설을 따라 이곳까지 왔습니다. 베두인 안내인을 설득한 끝에, 그는 마침내 좁은 협곡을 통과하게 되었죠. 그가 제 가장 유명한 얼굴, 알카즈네(보물창고)를 처음 마주했을 때의 경이로움을 상상할 수 있나요? 그는 자신의 눈을 믿을 수 없었을 거예요. 그는 자신의 발견을 세상에 알렸고, 그때부터 저는 다시 한번 세상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저는 더 이상 잊힌 도시가 아닙니다. 1985년, 저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전 인류가 함께 지키고 아껴야 할 소중한 보물이 되었어요. 매년 수많은 사람들이 세계 각지에서 저를 찾아와 제 돌에 새겨진 이야기들을 듣습니다. 저는 인간의 창의력과 회복력에 대한 증거입니다. 척박한 사막에 물을 끌어와 생명의 도시를 만들고, 바위를 깎아 예술 작품을 만들어낸 나바테아인들의 지혜를 보여주죠. 또한 지진과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꿋꿋이 자리를 지키며 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제 돌 속에 숨겨진 이야기들을 상상해 보세요. 상인들의 외침, 기술자들의 망치 소리,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들어보세요. 아름다움과 독창성은 수천 년을 뛰어넘어 우리 모두를 과거와 연결해 주는 놀라운 유산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페트라는 기원전 312년경 나바테아인들이 건설하여 무역으로 번성했습니다. 서기 106년 로마의 일부가 되어 더욱 발전했지만, 무역로가 바뀌고 서기 363년 큰 지진이 일어나면서 사람들이 떠나 잊혔습니다. 천 년이 지난 1812년, 탐험가 부르크하르트가 다시 발견하여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Answer: 이 이야기의 주제는 인간의 놀라운 창의력과 지혜는 시간과 역경을 이겨내고 오래도록 남아 후세에 영감을 준다는 것입니다. 또한 아무리 위대한 문명이라도 자연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잊힐 수 있지만, 그 가치는 결국 다시 발견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nswer: 페트라 이야기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지혜와 기술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과,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더 풍요로운 결과를 만들 수 있다는 교훈을 줍니다. 또한, 과거의 유산이 오늘날 우리에게 얼마나 큰 영감과 교훈을 주는지 알려줍니다.

Answer: 페트라의 '생명줄'은 정교한 수로 시스템이었습니다. 사막 한가운데에 위치한 페트라에서 물은 도시와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 가장 필수적인 요소였기 때문에, 마치 생명체의 생명을 유지하는 핏줄처럼 중요했다는 의미로 '생명줄'이라고 표현했습니다.

Answer: 이 표현은 페트라의 독특한 붉은 사암 색깔과 매우 오래된 역사를 시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장밋빛 붉은 도시'는 페트라의 아름다운 모습을, '시간의 절반만큼이나 오래되었다'는 것은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오랜 세월을 견뎌온 신비롭고 장엄한 느낌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