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 테레사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안녜저 곤제 보야지우이지만, 여러분은 아마 저를 마더 테레사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고 있을 거예요. 저는 1910년, 지금은 북마케도니아의 수도인 스코페라는 활기찬 도시에서 태어났어요. 우리 가족은 서로를 무척 사랑했고, 특히 어머니 드라나필레는 제게 가장 큰 영향을 주셨죠. 어머니는 믿음이 깊고 마음이 따뜻한 분이셨어요. 우리 집 식탁에는 종종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이 함께 앉아 식사를 했답니다. 어머니는 항상 “네가 가진 것을 나눌 때, 그것이 진정한 사랑이란다”라고 말씀하셨어요. 저는 어머니를 보며 다른 사람을 돕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었습니다. 우리 가족은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고, 저는 교회에 가서 다른 나라로 떠나 사람들을 돕는 선교사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을 정말 좋아했어요. 그 이야기들은 제 마음속에 작은 씨앗을 심었죠. 나이가 들면서 그 씨앗은 점점 자라나, 저 역시 그들처럼 살고 싶다는 강한 열망이 되었어요. 마침내 1928년, 제가 18살이 되던 해에 아주 큰 결심을 했습니다. 바로 수녀가 되어 평생을 하느님과 이웃을 위해 살기로 한 것이죠. 다시는 못 볼지도 모르는 가족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는 것은 정말 슬펐지만, 제 마음속에는 새로운 삶에 대한 설렘과 확신이 가득했어요. 저는 새로운 시작을 위해 아일랜드로 떠났습니다.

아일랜드에서 잠시 머문 후, 저는 배를 타고 아주 긴 항해 끝에 인도라는 새로운 나라에 도착했어요. 인도는 제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다채롭고 활기찬 곳이었어요. 저는 캘커타(지금의 콜카타)에 있는 성 마리아 학교의 선생님이 되었어요. 저는 아이들에게 지리를 가르치는 것을 정말 좋아했고, 학생들도 저를 잘 따랐어요. 수녀원 담장 안에서의 생활은 평화롭고 안정적이었죠. 하지만 담장 밖 세상은 너무나 달랐어요. 거리에는 가난과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았고, 그 모습을 볼 때마다 제 마음은 무척 아팠습니다. 그러던 1946년 9월 10일, 제 인생을 영원히 바꾼 순간이 찾아왔어요. 저는 피정을 위해 다르질링이라는 곳으로 가는 기차를 타고 있었죠. 덜컹거리는 기차 안에서 저는 제 마음속에서 아주 분명하고 강렬한 목소리를 들었어요. 그것은 바로 '부르심 속의 부르심'이었어요. 저는 하느님께서 제게 편안한 수녀원을 떠나, 세상에서 가장 가난하고 버림받은 사람들에게 직접 가라고 말씀하고 계심을 깨달았어요. 그들 속에서 함께 살며, 그들을 돌보고, 그들이 얼마나 소중하고 사랑받는 존재인지 알려주라는 사명이었죠. 그 순간은 두렵기도 했지만, 제 길은 아주 명확해졌어요. 어떻게 해야 할지는 막막했지만, 무엇을 해야 하는지는 분명히 알게 된 것입니다.

수녀원을 떠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어요. 특별한 허락을 받은 후에야 저는 아주 적은 돈과 큰 믿음만을 가지고 캘커타의 거리로 나설 수 있었어요. 제가 가장 먼저 한 일은 배울 곳이 없는 아이들을 위해 길거리 한쪽에 작은 학교를 여는 것이었어요. 칠판도, 책상도 없었지만 저는 땅바닥을 칠판 삼아 나뭇가지로 글자를 가르쳤어요. 저는 로레토 수녀회의 검은 수녀복 대신, 인도의 가난한 여성들이 입는 단순한 흰색 목면 사리에 파란색 줄 세 개를 두른 옷을 입기 시작했어요. 흰색은 순수함을, 파란색 줄은 저의 헌신을 상징했죠. 이 옷을 입음으로써 저는 제가 돕고 싶은 사람들과 똑같은 모습이 되고 싶었어요. 곧 저의 이런 모습을 본 예전 제자들이 저를 돕겠다며 찾아오기 시작했어요. 한 명, 두 명씩 저와 함께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마침내 1950년, 우리는 교회로부터 '사랑의 선교회'라는 새로운 수도회로 공식 인정을 받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임무는 굶주리고, 병들고, 집이 없고, 세상으로부터 완전히 잊혔다고 느끼는 모든 사람을 돌보는 것이었어요. 우리는 죽음을 앞둔 이들을 위한 집, 아픈 이들을 위한 진료소, 부모 없는 아이들을 위한 고아원을 열었습니다.

캘커타의 거리에서 몇몇의 동료들과 함께 시작했던 작은 움직임은 제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큰 사랑의 물결이 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어요. '사랑의 선교회'는 모든 대륙의 여러 나라로 뻗어 나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섬기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그저 큰 사랑으로 작은 일들을 했을 뿐이었어요. 1979년, 저는 노벨 평화상을 받게 되었어요. 저는 이 상이 제 개인의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섬기는 가난하고, 굶주리고, 병들고, 외로운 사람들을 대신하여 받는 것이라고 말했어요. 이 상을 통해 세상이 제가 매일 만나는 소외된 이웃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기를 바랐습니다. 저의 삶은 1997년에 끝이 났지만, 사랑의 실천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제가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간단해요. 세상을 바꾸기 위해 꼭 위대한 일을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에요. 여러분의 작은 미소, 친절한 말 한마디, 따뜻한 도움의 손길이 누군가의 세상을 환하게 밝힐 수 있답니다. 여러분 각자가 세상을 바꾸는 큰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그것은 편안한 학교를 떠나 거리의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직접 섬겨야 한다는 하느님의 특별한 메시지였습니다. 이미 수녀로서 부르심을 받은 삶 속에서 또 다른 구체적인 사명을 받은 것을 의미합니다.

Answer: 흰색은 순수함을, 파란색 줄무늬는 헌신을 상징했습니다. 또한 인도의 가난한 여성들이 입는 옷과 같은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그들과 하나가 되고자 하는 마음을 나타냈습니다.

Answer: 가족과 헤어지는 것은 슬펐지만, 하느님의 부르심을 따라야 한다는 생각에 설레고 기대감에 찬 마음도 있었을 것입니다.

Answer: 마더 테레사가 캘커타의 빈민가에서 맨손으로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열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녀의 헌신적인 모습에 감동한 예전 제자들이 한두 명씩 동참하기 시작했고, 이 작은 그룹이 1950년에 '사랑의 선교회'가 되었습니다.

Answer: 세상을 바꾸기 위해 꼭 위대한 일을 할 필요는 없으며, 사랑을 담은 작은 친절과 행동 하나하나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