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예술가, 응결 이야기

안녕. 나는 보이지 않는 예술가야. 아무도 나를 직접 볼 수는 없지만, 내가 남긴 작품은 세상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단다. 아침 일찍 일어나면 내가 풀잎 하나하나에 정성껏 그려놓은 반짝이는 이슬 방울을 볼 수 있을 거야. 마치 수천 개의 작은 다이아몬드처럼 보이지 않니. 더운 여름날, 시원한 주스를 유리컵에 따르면 컵 표면에 송골송골 땀이 맺히는 걸 본 적 있니. 그것도 바로 내 작품이야. 나는 차가운 표면을 만나면 공기 속에 숨어 있던 수증기들을 붙잡아 작은 물방울로 바꿔주는 마법을 부리거든. 겨울에는 더 재미있는 놀이를 할 수 있어. 창문에 하얗게 김이 서리게 만들어서 너희들이 손가락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캔버스를 만들어 주지. 나는 이렇게 조용히, 보이지 않게 세상을 아름답게 꾸미고 있단다. 내 정체가 궁금하지 않니. 나는 바로 공기를 물로 바꾸는 신비한 힘, 응결이란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내가 하는 일을 보고 고개를 갸웃했어. 대체 이 물방울들은 어디서 나타나는 걸까. 옛날 그리스의 위대한 철학자였던 아리스토텔레스도 나를 무척 궁금해했지. 그는 비가 내리고 강물이 흐르는 것을 보며 이렇게 생각했어. “음, 물은 아마 땅과 하늘 사이를 커다란 원을 그리며 계속 여행하는 것일 거야.” 정말 멋진 생각이었지만, 그 여행의 비밀을 전부 알지는 못했어. 시간이 한참 흐른 뒤, 프랑스에 베르나르 팔리시라는 아주 호기심 많은 아저씨가 나타났단다. 그는 흙으로 멋진 도자기를 만드는 사람이었는데, 늘 주변을 관찰하는 것을 좋아했어. 어느 날 그는 내 쌍둥이 형제인 ‘증발’이 젖은 빨래에서 물을 보이지 않는 가스, 즉 수증기로 만들어 하늘로 데려가는 것을 발견했지. “아하. 증발이 물을 하늘로 보낸다면, 분명 누군가는 그 수증기를 다시 물로 되돌려 보내겠구나.” 팔리시는 무릎을 탁 쳤어. 그는 마침내 내가 하는 일을 이해하게 된 거야. 바로 내가 하늘로 올라간 수증기들을 붙잡아 다시 작은 물방울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말이야. 그제야 사람들은 내 진짜 이름을 알게 되었지. 내 이름은 바로 ‘응결’이야.

이제 내 진짜 임무를 알려줄게. 나는 지구의 물이 계속 순환하도록 돕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어. 증발이 하늘로 보낸 수증기들을 내가 다시 모아서 작고 귀여운 물방울로 만들지. 그 물방울들이 수없이 많이 모이면 바로 너희가 보는 뭉게뭉게 피어나는 구름이 되는 거야. 그리고 구름이 충분히 무거워지면 비나 눈이 되어 땅으로 내리지. 내가 만든 비 덕분에 식물들이 무럭무럭 자라고, 동물들이 목마르지 않게 지낼 수 있는 거란다. 내 일은 여기서 끝이 아니야. 아침에 숲속을 신비롭게 만드는 자욱한 안개도 내가 만들고, 더운 여름날 에어컨이 시원한 바람을 뿜어낼 수 있도록 돕는 것도 바로 나야. 이제부터 주변을 잘 살펴봐. 차가운 음료수 캔, 아침 풀잎, 목욕하고 난 뒤의 욕실 거울에서 언제나 나를 찾아볼 수 있을 거야. 나는 보이지 않지만, 언제나 너희들 곁에서 세상을 촉촉하게 만들어주고 있단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이름은 '응결'이고, 공기 중의 수증기를 물방울로 바꾸는 일을 해요. 예를 들어 이슬을 만들거나 구름을 만들어요.

Answer: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 중에서 갑자기 물방울이 나타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그 원리를 몰라 신기하고 궁금하게 생각했을 거예요.

Answer: 그는 '증발'이 물을 수증기로 만들어 하늘로 보낸다는 것을 먼저 관찰하고, 그렇다면 그 수증기를 다시 물로 되돌리는 존재가 있을 것이라고 추리하여 비밀을 알아냈어요.

Answer: 구름을 만들어 비를 내리게 하여 모든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 안개를 만들거나 에어컨이 시원하게 작동하도록 돕는 역할을 해요.

Answer: 응결이 우리 생활 속 아주 가까운 곳에서 항상 일어나고 있는 흔한 과학 현상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하려고 말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