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조각 그림 퍼즐 이야기
안녕. 나는 너희들이 매일 걷고, 뛰고, 집을 짓고 사는 울퉁불퉁하고 커다란 땅덩어리이기도 하고, 수많은 물고기와 신비로운 생물들이 헤엄쳐 다니는 깊고 푸른 바다이기도 해. 아주 오랫동안 사람들은 나를 그저 따로 떨어진 조각들이라고 생각했어. 거대한 땅과 그 사이를 채우는 드넓은 바다. 그게 전부인 줄 알았지. 하지만 너희에게만 알려주는 비밀이 하나 있어. 사실 나의 모든 조각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아주 아주 천천히,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움직이고 있단다. 마치 거대한 조각 그림 퍼즐처럼 말이야. 그래, 맞아. 나는 바로 지구의 대륙과 바다란다.
사람들이 내 비밀을 알아채기 시작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어. 옛날 지도 제작자들은 지도를 그리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지. 남아메리카 대륙의 동쪽 해안선이 아프리카 대륙의 서쪽 해안선과 마치 퍼즐 조각처럼 딱 들어맞는 것처럼 보였거든. 정말 신기하지 않니. 그러던 중, 아주 호기심 많은 독일의 과학자 알프레트 베게너가 나타났어. 그는 1912년 1월 6일에 아주 놀라운 생각을 사람들에게 발표했지. 바로 나의 모든 땅덩어리들이 아주 먼 옛날에는 '판게아'라는 하나의 거대한 대륙으로 합쳐져 있었다는 거야. 베게너는 그 증거를 찾기 위해 온 세상을 연구했어. 멀리 떨어진 대륙에서 똑같은 모양의 화석을 발견하고, 바다 건너편에 있는 산맥들이 마치 하나였던 것처럼 이어지는 것을 찾아냈지. 하지만 사람들은 그의 말을 믿지 않았어. 왜냐하면 아무도 이 거대한 땅덩어리들이 대체 어떻게 움직일 수 있는지, 그 비밀의 엔진을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이야. 그래서 베게너의 위대한 생각은 오랫동안 잊혀지고 말았단다.
베게너가 세상을 떠나고 수십 년이 지난 후에야 사람들은 마침내 퍼즐의 마지막 조각을 찾아냈어. 과학자들은 바다 깊은 곳을 탐험하다가 지구의 껍질이 단단한 하나의 통이 아니라, 여러 개의 거대한 조각, 즉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지. 그리고 그 판들은 뜨겁고 말랑말랑한 맨틀 위를 아주 천천히 떠다니고 있었어. 바로 이것이 내 비밀 엔진이었던 거야. 내가 움직이는 속도는 너희들의 손톱이 자라는 속도와 비슷할 정도로 아주 느리단다. 하지만 이 느린 움직임이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어. 나의 판들이 서로 쾅 부딪히면 히말라야 같은 거대한 산맥이 솟아오르고, 서로 멀어지면 대서양처럼 바다가 점점 더 넓어지지. 또 서로 스쳐 지나갈 때는 땅이 흔들리는 지진이 일어나기도 한단다.
나의 움직임을 이해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지구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어. 언제 지진이 일어날지 예측하고, 아주 먼 옛날에 어떤 생물들이 살았는지도 알 수 있게 되었지. 나의 이야기는 너희에게 중요한 사실을 알려준단다. 비록 우리가 서로 다른 대륙에 살고, 넓은 바다로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여도, 우리는 모두 천천히 움직이는 이 거대한 조각들 위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거야. 나는 세상이 언제나 변화하고 있다는 살아있는 증거란다. 그리고 우리는 모두 이 아름답고 거대한, 살아 움직이는 행성의 일부라는 것을 잊지 마렴.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