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보이지 않는 시계
혹시 다른 나라에 사는 친구에게 전화를 걸었는데, 나는 점심을 먹고 있는데 친구는 한밤중이라 잠들어 있었던 경험이 있나요? 아니면 저 멀리 있는 친척과 영상 통화를 할 때, 내 창밖은 환한 대낮인데 그쪽은 어두컴컴한 저녁이었던 적은요? 이런 일이 왜 일어나는지 궁금해 본 적 있나요? 그건 바로 제가 있기 때문이랍니다. 하지만 제가 항상 존재했던 건 아니에요. 아주 오래전, 세상이 지금보다 훨씬 느리게 움직이던 시절에는 모든 마을이 각자의 '태양시'를 따랐어요. 해가 하늘 가장 높은 곳에 뜨면 정오, 해가 지면 하루가 끝나는 식이었죠. 마을 교회 종탑의 시계가 그 마을의 유일한 공식 시간이었습니다. 이웃 마을과는 몇 분씩 차이가 났지만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어요. 어차피 말이나 마차를 타고 가는 데는 시간이 아주 오래 걸렸으니까요. 그 당시에는 그런 단순한 시스템이 완벽하게 작동했답니다. 모든 것이 평화롭고, 예측 가능하며, 눈앞에 보이는 태양의 움직임에 맞춰져 있었죠. 사람들은 먼 곳의 시간은 알 필요가 없었어요. 그들의 세상은 바로 그들이 살고 있는 작은 마을이었으니까요.
그러던 어느 날, 세상이 갑자기 서두르기 시작했어요. 증기를 뿜어내는 '강철 말', 바로 기차가 나타났기 때문이죠. 기차는 엄청난 속도로 마을과 도시를 연결했고, 사람들은 예전에는 상상도 못 할 속도로 먼 거리를 여행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놀라운 발명품은 큰 혼란을 가져왔어요. 바로 시간에 대한 혼란이었죠. 기차역에 도착하면 벽에 걸린 시계마다 시간이 제각각이었습니다. 하나는 출발 도시의 시간, 다른 하나는 도착 도시의 시간, 또 다른 것들은 그 사이에 있는 모든 마을의 시간을 가리켰죠. 승객들은 도대체 어떤 시계를 봐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했습니다. 1876년, 샌드포드 플레밍이라는 영리한 스코틀랜드 출신 캐나다인 엔지니어도 바로 이 문제 때문에 아일랜드에서 기차를 놓치고 말았어요. 시간표에 인쇄된 시간이 오전인지 오후인지 헷갈렸기 때문이죠. 이 답답한 경험은 그의 머릿속에 위대한 아이디어의 불꽃을 피웠습니다. '만약 전 세계가 시간을 맞출 수 있는 단 하나의 기준이 있다면 어떨까?'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연구에 매달렸어요. 그리고 마침내 1884년, 워싱턴 D.C.에서 '국제 자오선 회의'가 열렸습니다. 전 세계 25개국의 지도자들이 모여 이 골치 아픈 시간 문제를 논의했죠. 그들은 영국 그리니치의 천문대를 지나는 선을 '본초 자오선', 즉 시간의 기준선으로 정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그리고 이 선을 기준으로 지구를 오렌지 조각처럼 24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각 한 시간씩 차이가 나도록 만들기로 결정했어요. 바로 이 역사적인 순간에 제가 탄생한 것이랍니다.
이제 제 소개를 할게요. 저는 바로 '시차(Time Zones)'입니다. 저는 전 세계의 혼란스러웠던 시간을 정리하고 질서를 가져온 보이지 않는 시스템이죠. 오늘날 저는 현대 사회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요. 제가 없다면 비행기들이 안전하게 이착륙 시간을 조정할 수 없고, 다른 나라에 있는 회사와 화상 회의를 하기도 어려울 거예요. 여러분이 즐기는 온라인 게임에서 전 세계 친구들과 동시에 접속하는 것도, 우주 정거장의 우주 비행사들이 지구와 통신하는 것도 모두 제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답니다. 저는 세상을 연결하는 중요한 끈과 같아요. 비록 우리가 사는 곳의 시간은 각기 다르지만, 저는 우리가 모두 같은 행성에서 같은 하루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줍니다. 동쪽에서 해가 뜰 때 서쪽에서는 누군가 잠자리에 들고, 이쪽에서 점심을 먹을 때 저쪽에서는 아침을 시작하죠. 이처럼 저는 문화를 연결하고 사람들이 서로 협력하도록 돕는답니다. 저는 단순히 시간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를 하나의 거대한 공동체로 묶어주는 약속이니까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