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투석기입니다: 돌을 날린 기계 이야기

안녕, 친구들. 내 소개를 할게. 나는 아주 먼 옛날에 태어난 강력한 발명품, 투석기라고 해. 내가 태어나기 전 세상을 상상해 볼래? 사람들은 오직 자신의 팔 힘으로만 물건을 던질 수 있었어. 아주 무거운 돌이나 창을 멀리 던지는 건 꿈도 꿀 수 없었지. 성벽은 너무 높고 단단해서 아무도 쉽게 넘을 수 없었어. 하지만 기원전 399년경, 지중해의 햇살이 가득한 도시 시라쿠사에서 모든 것이 바뀌기 시작했어. 그곳의 통치자였던 디오니시우스 1세는 도시를 지킬 더 강력한 무언가를 원했지. 그래서 아주 똑똑한 그리스 기술자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기 시작했어. 그들은 인간의 힘을 훨씬 뛰어넘어, 거대한 돌멩이를 성벽 너머로 날려 보낼 수 있는 기계를 만들고 싶어 했단다. 바로 그 기계가 바로 나야. 그들의 작업실에서 나무와 밧줄, 그리고 기발한 생각들이 모여 나의 첫 모습이 만들어졌을 때, 공기 중에는 흥분과 기대감이 가득했지. 이것이 바로 투석기라고 불리는 나의 강력한 시작이었어.

나는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더 크고 강해졌어. 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궁금하지 않니? 아주 간단해. 내 몸에는 굵고 튼튼한 밧줄들이 팽팽하게 꼬여 있는데, 이게 마치 태엽을 감은 장난감처럼 엄청난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거야. 기술자들이 거대한 팔을 뒤로 당겨 고정하면, 꼬인 밧줄들은 금방이라도 폭발할 것처럼 팽팽해졌지. 그러다 방아쇠를 당기면, "쾅." 하는 소리와 함께 내 팔이 무서운 속도로 휘둘러지며 바구니에 담긴 무거운 돌을 하늘 높이 날려 보냈어. 그 돌이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 멀리 있는 목표물에 명중할 때의 그 짜릿함이란. 상상이 가니? 나는 혼자가 아니었어. 나에겐 아주 유명한 사촌들도 있었거든. 한 명은 '발리스타'라고 하는데, 거대한 쇠뇌처럼 생겨서 아주 크고 뾰족한 화살을 쏘았지. 또 다른 사촌은 '트레뷰셋'이야. 그는 꼬인 밧줄 대신 아주 무거운 추를 이용해서 팔을 휘둘렀는데, 나보다 훨씬 더 무거운 돌도 던질 수 있었어. 우리는 모두 강력한 투척기 가문의 일원으로서, 고대 전쟁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단다. 우리는 함께 성벽을 무너뜨리고, 군대를 보호하며 역사의 많은 순간을 함께했지.

수백 년 동안 성을 지키고 공격하는 것이 내 임무였지만, 이제 세상은 많이 변했어. 더 이상 높은 성벽을 향해 돌을 던지지 않아도 돼. 그렇다고 내가 쓸모없어졌냐고? 천만에. 나의 현대적인 모험은 이제 막 시작됐는걸. 요즘 사람들은 나를 전쟁 대신 즐거움을 위해 사용해. 매년 가을이 되면, 어떤 곳에서는 '호박 던지기 대회'를 여는데, 바로 내 작은 후손들이 커다란 호박을 하늘 멀리 날려 보내는 축제야. 사람들은 누가 더 멀리 호박을 보내는지 보며 웃고 환호하지. 또 학교 과학 실험실에서는 아이들이 내 모형을 만들면서 에너지와 물리학의 원리를 배워. 내가 어떻게 에너지를 저장하고 물체를 멀리 보낼 수 있는지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거야. 나의 유산은 이제 파괴가 아닌 배움과 즐거움에 관한 것이 되었어. 옛날에는 두려움의 대상이었을지 몰라도, 이제 나는 사람들의 창의력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멋진 친구가 되었단다. 정말 신나는 변신 아니니?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나'(투석기)는 꼬인 밧줄에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한 번에 풀어놓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태엽을 감았다가 풀면 움직이는 장난감에 비유되었습니다. 둘 다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사용하는 원리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Answer: 발리스타는 거대한 쇠뇌처럼 생겨서 크고 뾰족한 화살을 쏘았고, 트레뷰셋은 꼬인 밧줄 대신 아주 무거운 추를 이용해서 팔을 휘둘러 무거운 돌을 던졌습니다.

Answer: 고대에 성을 공격할 때는 긴장되고 진지한 임무를 수행하는 기분이었을 것입니다. 반면, 현대에 호박을 던질 때는 사람들이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며 자신도 신나고 뿌듯한 기분이었을 것입니다.

Answer: '유산'은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가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문장은 투석기가 과거에는 전쟁 무기였지만, 이제는 그 원리가 과학 교육이나 즐거운 축제에 사용되면서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가치를 남겨주고 있다는 뜻입니다.

Answer: 그리스 기술자들은 사람의 힘만으로는 넘을 수 없는 높고 단단한 성벽 너머로 무거운 물체를 던져 도시를 보호하고 싶었습니다. 그들은 인간의 힘을 뛰어넘는 강력한 무언가가 필요했기 때문에 투석기를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