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 여신상 이야기
리버티 섬 꼭대기에서 나는 바닷바람이 내 구릿빛 피부를 스치는 것을 느낍니다. 태양은 따스하게 내리쬐고, 저 멀리 거대한 도시의 스카이라인이 보입니다. 항구를 바쁘게 오가는 작은 배들은 마치 장난감 같습니다. 내 피부는 원래 반짝이는 구리색이었지만, 오랜 세월 비와 바람을 맞아 지금은 온화한 초록빛을 띠고 있습니다. 한쪽 팔에는 무거운 석판을 들고 있는데, 여기에는 1776년 7월 4일이라는, 미국이 자유를 선언한 중요한 날짜가 새겨져 있습니다. 다른 한 손으로는 횃불을 하늘 높이 치켜들고 세상을 밝힙니다. 내 머리에 쓴 왕관의 일곱 개 뿔은 일곱 개의 대륙과 일곱 개의 바다를 상징하며, 전 세계에 자유의 빛이 퍼져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나를 여러 이름으로 부릅니다. 나는 자유의 여신상, 혹은 친근하게 레이디 리버티라고도 불립니다.
나의 이야기는 바다 건너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때는 1865년, 미국에서 노예 제도가 막을 내리고 나라가 다시 하나가 되었을 때였습니다. 에두아르 드 라불레라는 프랑스의 한 법학자는 미국이 이룬 자유와 민주주의를 기념하고, 프랑스와 미국의 오랜 우정을 축하하고 싶었습니다. 그는 두 나라의 우정을 상징하는 거대한 기념물을 선물하자는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이 멋진 생각을 현실로 옮긴 사람이 바로 조각가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였습니다. 바르톨디는 미국으로 건너와 나에게 가장 어울리는 장소를 찾아다녔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뉴욕 항구의 한 섬을 보고는 이곳이야말로 유럽에서 오는 모든 배가 가장 먼저 보게 될 완벽한 장소라고 생각했습니다. 그의 비전은 단순히 힘을 과시하는 동상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내가 전쟁이나 정복이 아닌, 평화와 자유를 상징하며, 새로운 삶을 찾아오는 모든 사람을 환영하는 존재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그렇게 나는 두 나라의 우정과 전 인류의 자유라는 위대한 꿈을 품고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나를 만드는 작업은 파리의 한 작업장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곳은 수많은 장인의 망치 소리로 가득 찼습니다. 그들은 거대한 나무틀 위에 얇은 구리판을 올려놓고 수없이 망치질을 해서 내 피부를 섬세하게 만들어냈습니다. 내 피부는 동전 두 개를 합친 것만큼이나 얇지만, 수백 개의 조각이 모여 거대한 나를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얇은 피부만으로는 거센 바닷바람을 견딜 수 없었습니다. 바로 그때, 구스타브 에펠이라는 천재적인 기술자가 나를 위한 비밀을 설계했습니다. 그는 훗날 에펠탑을 설계한 바로 그 사람입니다. 그는 내부에 강력한 철골 구조를 만들어 내가 튼튼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철골 뼈대 덕분에 나는 강풍이 불 때 살짝 흔들리면서도 굳건히 버틸 수 있습니다. 마침내 1884년, 나는 파리에서 완전히 조립되어 도시의 지붕들 위로 우뚝 솟았습니다. 파리 시민들은 나를 보고 감탄했지만, 나는 곧 더 긴 여행을 떠나야 했습니다. 1885년, 나는 조심스럽게 350개의 조각으로 다시 분해되어 214개의 상자에 나뉘어 담겼습니다. 그리고 '이제르'라는 이름의 배에 실려 미국으로 향하는 긴 항해를 시작했습니다.
내가 미국에 도착했을 때, 나를 세울 받침대는 아직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받침대를 지을 돈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나를 환영했지만, 거대한 받침대를 만들 비용을 마련하는 것은 큰 도전이었습니다. 바로 그때, '뉴욕 월드' 신문의 발행인인 조셉 퓰리처가 나섰습니다. 그는 신문을 통해 모든 미국인에게 기부를 호소했습니다. 그는 부자들뿐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 심지어 어린이들에게도 단 몇 센트라도 기부해 달라고 격려했습니다. 그의 열정적인 호소에 수많은 사람이 응답했고, 마침내 받침대를 완성할 기금이 모였습니다. 1년 동안 나는 다시 조립되었고, 마침내 새로운 돌 받침대 위에 굳건히 서게 되었습니다. 1886년 10월 28일, 나의 공식적인 헌정식이 열렸습니다. 그날은 비가 내리고 안개가 짙었지만, 수많은 배가 항구에 모여 경적을 울렸고, 사람들은 환호성을 지르며 나를 맞아주었습니다. 나는 마침내 새로운 땅에 나의 집을 찾은 것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나의 역할은 더욱 커졌습니다. 나는 단순히 두 나라의 우정을 기념하는 상징을 넘어, 새로운 희망을 찾아 미국으로 오는 수백만 이민자들에게 첫인사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긴 항해 끝에 지쳐 있었지만, 수평선 위로 보이는 나의 횃불을 보며 안도와 희망을 느꼈습니다. 1903년, 시인 엠마 라자루스가 쓴 '새로운 거상'이라는 시가 내 받침대에 새겨졌습니다. 그 시는 "지치고 가난한 자들, 자유롭게 숨 쉬기를 갈망하는 군중들을 나에게 보내다오"라고 말하며, 세상의 모든 이들을 환영하는 나의 목소리가 되어주었습니다. 오늘날에도 나는 여전히 그 약속을 지키며 이 자리에 서 있습니다. 나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희망과 우정, 그리고 자유의 상징으로 남아있습니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