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돌 거인

따스한 햇살이 나의 오래된 돌 위에 내리쬐고, 내 주위로는 자동차와 사람들의 윙윙거리는 소리가 가득해요. 나는 수천 개의 아치가 마치 돌로 된 눈처럼 뻥 뚫린 거대한 원형 경기장이에요. 나는 아주 오랫동안 이 자리에 서 있었고, 셀 수 없이 많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답니다. 자랑스럽게 내 소개를 할게요. 나는 콜로세움이에요.

나는 로마 시민들을 위한 선물로 태어났어요. 아주 먼 옛날인 서기 70년경,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백성들을 위해 웅장한 원형 극장을 짓기로 결심했죠. 내가 서 있는 이 땅은 원래 욕심 많은 황제가 자신만을 위해 지은 거대한 궁전이 있던 곳이었어요. 하지만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그 궁전을 허물고, 모든 시민이 함께 모여 즐길 수 있는 장소를 만들고 싶어 했어요. 도시를 다시 시민들에게 돌려주려는 멋진 생각이었죠. 그래서 나는 모든 사람을 위한 즐거움의 장소로 만들어지기 시작했어요.

나를 짓는 과정은 정말 놀라웠어요. 똑똑한 로마의 건축가들은 트래버틴이라는 튼튼한 돌과 특별한 비법으로 만든 콘크리트를 사용해서 나를 아주 튼튼하게 지었답니다. 나의 설계는 정말 기발했어요. '보미토리아'라고 불리는 80개의 입구가 있어서, 무려 5만 명의 사람들이 아주 빠르게 자리를 찾을 수 있었죠. 마치 거대한 개미집처럼 사람들이 쏟아져 들어왔다가 순식간에 빠져나갈 수 있었어요. 더 놀라운 것은, 뜨거운 로마의 햇볕으로부터 관중들을 보호하기 위해 거대한 캔버스 차양을 칠 수 있는 개폐식 지붕, '벨라리움'도 있었다는 거예요. 솜씨 좋은 뱃사람들이 밧줄을 당겨서 거대한 천을 펼쳐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었답니다.

서기 80년, 티투스 황제가 주최한 나의 개장식은 정말 화려했어요. 무려 100일 동안이나 축제가 계속되었죠. 거리에는 음악이 울려 퍼지고, 멋진 행렬이 이어졌어요. 사람들은 옛날에 즐겨 보던 검투사들의 시합이나 야생 동물 사냥 같은 웅장한 쇼를 보며 환호성을 질렀어요. 가장 놀라운 광경 중 하나는 경기장 바닥에 물을 가득 채워서 벌이는 모의 해전이었어요. 거대한 경기장이 순식간에 바다로 변하는 모습에 사람들은 모두 입을 다물지 못했답니다. 그 100일은 로마 전체가 기쁨으로 가득 찬 시간이었어요.

로마 제국이 힘을 잃은 후, 나의 삶은 많이 변했어요. 여러 차례의 큰 지진으로 벽이 무너져 내리기도 했고, 사람들은 나의 돌들을 가져다가 도시의 새로운 궁전과 교회를 짓는 데 사용했어요. 하지만 나는 슬퍼하지 않았어요. 마치 로마와 내 일부를 나누는 것 같았거든요. 시간이 흘러 사람들은 나의 소중함을 깨닫기 시작했어요. 이제 사람들은 역사의 보물인 나를 보호하기 위해 나의 고대의 벽을 정성껏 돌보고 있답니다.

이제 나는 더 이상 경기를 위한 장소가 아니에요. 나는 역사와 힘, 그리고 인간의 놀라운 창의성을 보여주는 상징이 되었어요. 전 세계에서 온 방문객들이 나의 아치 사이를 걸으며 과거를 상상하죠. 나는 위대한 건축물이 수천 년 동안이나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다는 것을 모두에게 상기시켜 준답니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콜로세움을 '돌 거인'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 크기가 매우 거대하고, 수천 개의 아치가 마치 거인의 눈처럼 보이며, 아주 오랜 시간 동안 한자리에 서 있었기 때문입니다.

Answer: 5만 명이나 되는 많은 사람들이 빠르고 질서 있게 경기장 안으로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80개의 입구가 있었습니다.

Answer: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이기적인 황제가 차지했던 땅을 다시 시민들에게 돌려주고, 모든 사람이 함께 모여 즐길 수 있는 멋진 선물을 주고 싶었기 때문에 콜로세움을 짓기로 결심했습니다.

Answer: '벨라리움'은 콜로세움의 개폐식 지붕으로, 거대한 캔버스 천으로 만들어져 뜨거운 햇볕으로부터 관중들을 보호하고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Answer: 오늘날 콜로세움은 인간이 만든 위대한 건축물은 수천 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고, 역사와 힘, 그리고 창의성의 상징으로 남아 사람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