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자 파크스: 내 이야기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로자 파크스입니다. 저는 앨라배마의 작은 마을 터스키기에서 1913년 2월 4일에 태어났어요. 제 어린 시절은 파인 레벨이라는 곳에서 보냈는데, 그곳은 소나무와 끝없이 펼쳐진 목화밭이 있는 시골이었죠. 제 어머니 리오나는 선생님이셨고, 제게 읽고 쓰는 법을 가르쳐 주셨어요. 어머니는 제 첫 번째 선생님이자 영웅이셨죠. 제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와 함께 살았는데, 할아버지 실베스터는 제게 자부심을 심어주셨어요. 그는 노예로 태어났지만, 자유를 얻은 후에는 누구에게도 고개 숙이지 않는 법을 배우셨죠. 저는 할아버지로부터 불의에 맞서 자신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배웠습니다. 그 당시 남부 지방에는 '짐 크로우' 법이라는 끔찍한 규칙이 있었어요. 이 법은 흑인과 백인을 분리하는 법이었죠. 우리는 백인들과 같은 학교에 다닐 수도, 같은 식수대를 사용할 수도, 심지어 같은 버스 좌석에 앉을 수도 없었어요. 어렸을 때 저는 이것이 얼마나 불공평한지 마음속 깊이 느꼈습니다. 밤이 되면, 저는 가끔 할아버지가 소총을 무릎에 놓고 현관 의자에 앉아 계신 것을 보았어요. 할아버지는 우리 가족을 해치려는 사람들로부터 우리를 지키고 계셨던 거예요. 그 모습은 무서웠지만, 동시에 할아버지의 조용한 용기는 제 마음속에 깊이 새겨졌고, 언젠가 저도 그렇게 용감해져야겠다고 다짐하게 만들었답니다.

저는 배우는 것을 정말 좋아했지만, 제가 다닐 수 있는 학교는 시설이 열악했고, 종종 책이나 책상도 부족했어요. 흑인 아이들을 위한 학교는 1년에 겨우 다섯 달만 문을 열었죠. 저는 더 공부하고 싶다는 열망이 강했지만, 고등학교를 마치기 전에 할머니와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학교를 그만두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배움에 대한 꿈을 포기하지 않았어요. 1932년, 저는 레이먼드 파크스라는 이름의 친절하고 똑똑한 남자와 결혼했습니다. 그는 이발사였지만, 동시에 전미 흑인 지위 향상 협회(NAACP)의 헌신적인 활동가이기도 했죠. 레이먼드는 인종 평등을 위해 싸우는 것의 중요성을 믿었고, 제게도 그 길을 함께 가자고 격려해 주었어요. 그의 지지 덕분에 저는 마침내 1933년에 고등학교 졸업장을 딸 수 있었습니다. 그건 제 인생에서 가장 자랑스러운 순간 중 하나였어요. 레이먼드를 통해 저는 NAACP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었고, 저 역시 그 단체에 가입하여 몽고메리 지부의 비서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부장인 E.D. 닉슨과 함께 일하며, 저는 흑인들이 겪는 끔찍한 불의에 대한 사건들을 조사하고 기록했어요. 이 경험들은 제게 조직적으로 저항하고 변화를 요구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죠. 버스에서의 그날이 오기 훨씬 전부터, 저는 이미 제 목소리를 찾기 위한 여정을 시작하고 있었던 거예요.

여러분 대부분이 저를 아는 이야기는 바로 1955년 12월 1일, 그 춥고 어두웠던 저녁에 일어난 일일 거예요. 저는 백화점에서 재봉사로 긴 하루를 보낸 뒤 집으로 가는 버스에 올랐습니다. 몹시 피곤했죠. 하지만 그날 제가 느꼈던 피로는 단순히 몸이 힘든 것만이 아니었어요. 저는 매일같이 굴욕과 불의를 견뎌야 하는 삶에 지쳐 있었습니다. 제 영혼이 '더 이상은 안 돼'라고 외치고 있었죠. 저는 버스의 '유색인' 구역 첫 번째 줄에 앉았어요. 버스가 몇 정거장을 지나자 백인 승객들이 더 많이 탔고, 곧 그들이 앉을 자리가 없어졌습니다. 그러자 버스 운전기사 제임스 블레이크가 저와 다른 세 명의 흑인 승객에게 일어나서 백인들에게 자리를 양보하라고 명령했어요. 그 순간, 모든 것이 조용해진 것 같았어요. 다른 세 명은 일어섰지만, 저는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운전기사가 제게 다가와 다시 소리쳤지만, 저는 조용히 고개를 저으며 '아니요'라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충동적인 행동이 아니었어요. 그것은 제가 평생 느껴온 모든 불의에 대한 조용한 저항이었습니다. 결국 경찰이 왔고, 저는 체포되어 감옥으로 끌려갔습니다. 하지만 제 작은 '아니요'라는 한마디는 제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큰 메아리가 되어 돌아왔습니다. 제 체포 소식은 몽고메리 흑인 사회 전체에 불을 지폈고, E.D. 닉슨과 다른 지도자들은 버스 승차 거부 운동, 즉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조직했습니다. 381일 동안, 수만 명의 흑인 시민들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버스를 타지 않고 걷거나, 카풀을 하거나, 서로를 도왔습니다. 이 운동을 통해 우리는 젊고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님을 세상에 알렸고, 비폭력 저항의 힘을 보여주었습니다.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은 1956년 11월, 미국 연방 대법원이 버스에서의 인종 분리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리면서 우리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그것은 엄청난 성취였지만, 제 개인적인 삶의 투쟁은 끝나지 않았어요. 보이콧 이후, 남편과 저는 둘 다 직장을 잃었습니다. 우리는 끊임없는 위협에 시달렸고, 더 이상 몽고메리에서 안전하게 살 수 없다고 느꼈어요. 결국 1957년, 우리는 새로운 삶을 찾아 북쪽의 디트로이트로 이주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결코 정의를 위한 일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디트로이트에서 저는 존 코니어스 하원의원의 사무실에서 20년 넘게 일하며 지역 사회 사람들을 돕고 그들의 권리를 위해 싸웠습니다. 저는 제 이야기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기를 바랐지만, 제가 영웅으로 불리는 것은 원치 않았어요. 저는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 단지 변화가 가능하다고 굳게 믿었던 평범한 시민일 뿐이었습니다. 제 삶은 단 한 번의 용기 있는 행동이 세상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각자가 이 세상을 조금 더 공정하고 평등한 곳으로 만드는 데 기여할 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여러분도 여러분의 목소리를 내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그것이 바로 진정한 변화가 시작되는 곳이니까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로자 파크스가 겪었던 주요 갈등은 '짐 크로우' 법으로 대표되는 인종 차별과 불의였습니다. 이 갈등은 그녀가 버스에서 자리를 양보하기를 거부하고, 이로 인해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이 일어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습니다. 결국 연방 대법원이 버스 내 인종 분리가 위헌이라고 판결함으로써 갈등이 해결되었습니다.

Answer: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은 1955년 12월 1일, 로자 파크스가 버스에서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운전기사의 부당한 요구를 거부하여 체포된 사건을 계기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사건에 분노한 몽고메리의 흑인 사회가 381일 동안 버스 승차를 거부하는 비폭력 저항 운동을 벌였습니다. 그 결과, 연방 대법원은 버스 내 인종 분리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Answer: '저항'은 부당한 권력이나 규칙에 맞서 따르지 않고 반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자 파크스는 소리를 지르거나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그저 조용히 '아니요'라고 말하며 자리를 지키는 방식으로 저항을 보여주었습니다. 이것이 그녀의 '조용한 힘'이었습니다.

Answer: 이 이야기는 용기가 반드시 크고 시끄러운 행동일 필요는 없다는 교훈을 줍니다. 조용하지만 굳건하게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것도 큰 용기이며, 한 사람의 작은 용기 있는 행동이 사회 전체를 바꾸는 거대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Answer: '일어서기 위해 자리에 앉은 날'이라는 표현은 역설적이지만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로자 파크스는 물리적으로는 자리에 '앉아 있었지만', 그녀의 행동은 흑인 전체의 인권과 존엄성을 위해 '일어선' 것과 같았습니다. 즉, 불의에 굴복하지 않고 자리를 지킨 행동이 사회적 평등을 위해 맞서 싸운 상징적인 행위였음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