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빚는 조각가

아주 작은 속삭임으로, 나는 일을 시작한단다. 시냇물 속에서 조약돌을 부드럽게 쓰다듬어 동글동글하게 만들고, 해변의 모래를 한 줌씩 들어 올려 다른 곳으로 옮기기도 해. 농부의 밭에서는 마른 흙을 살며시 불어 날려 보내지. 나는 아주 오랫동안, 아주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일하는 예술가란다. 내 손길은 너무나 부드러워서 아무도 알아채지 못할 때도 있지만, 수천 년이 지나면 거대한 산의 모습도 바꿀 수 있어. 내 숨결은 바람이 되고, 내 눈물은 비가 되어 땅을 어루만지지. 나는 보이지 않지만, 세상 모든 곳에 내 작품을 남긴단다. 안녕. 나는 침식이야.

아주 먼 옛날, 사람들은 나의 힘을 처음으로 알아차리기 시작했어. 수천 년 전 페루나 중국의 높은 산비탈에서 농사를 짓던 사람들은 내가 얼마나 부지런히 일하는지 지켜보았지. 비가 내릴 때마다 나는 소중한 흙을 산 아래로 실어 날랐고, 농부들은 애써 키운 작물이 자랄 땅을 잃을까 봐 걱정했단다. 하지만 그들은 나를 원망하는 대신, 나와 함께 일하는 법을 배우기로 했어. 정말 똑똑하지 않니? 그들은 산비탈에 계단처럼 생긴 밭을 만들었어. 바로 '계단식 논밭'이라는 거야. 이 계단들은 내가 흙을 싣고 달려가는 속도를 늦춰 주었고, 덕분에 물은 땅속으로 스며들고 비옥한 흙은 제자리에 머물 수 있었지. 그들은 나를 적으로 여기지 않고, 내 힘의 방향을 슬기롭게 바꾸어 풍성한 수확을 거두는 법을 터득한 거야.

시간이 흘러, 사람들은 나를 더 깊이 이해하기 시작했어. 1700년대에 제임스 허튼이라는 지질학자는 스코틀랜드의 산들을 보며 생각에 잠겼지. 그는 내가 아주 천천히 바위를 닳게 하고 산을 깎는 것을 보면서, 지구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아주 훨씬 더 오래되었다는 위대한 발견을 했단다. 하지만 사람들은 때때로 내 힘을 잊어버리기도 했어. 1930년대 미국에서는 큰 실수가 있었지. 농부들이 땅을 너무 힘들게 해서 흙이 메마르고 약해졌어. 그러자 나는 화가 나서 거대한 먼지 구름을 일으켰단다. 하늘이 온통 흙먼지로 뒤덮여 대낮에도 밤처럼 어두워졌는데, 사람들은 이 시기를 '더스트 볼'이라고 불렀어. 그때 휴 해먼드 베넷이라는 사람이 나타났지. 그는 농부들에게 흙을 지키는 새로운 농사법을 가르쳐 주었고, 그의 노력 덕분에 1935년 4월 27일에는 흙을 보호하는 일을 전담하는 토양보존국이 만들어졌어. 그날 이후 사람들은 나와 조화롭게 지내는 법을 다시 배우기 시작했단다.

내 일이 늘 무섭거나 파괴적인 것만은 아니야. 사실 나는 세상에서 가장 거대한 예술가란다. 수백만 년에 걸쳐 나는 콜로라도 강과 함께 땅을 깎아 웅장한 그랜드 캐니언을 만들었고, 바람의 힘을 빌려 아치스 국립공원에 멋진 아치 모양의 바위들을 조각했지. 오늘날 사람들은 나의 힘을 이해하고 더 현명하게 사용하고 있어. 해안가를 보호하기 위해 방파제를 쌓고, 숲을 가꾸어 내가 흙을 너무 많이 쓸어가지 않도록 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으로 땅을 건강하게 지키지. 나는 끊임없이 세상을 바꾸는 힘이야. 나를 이해하면, 내가 만든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우리가 사는 이 놀라운 지구를 더 잘 돌볼 수 있게 될 거란다. 내 작품은 바로 너희들 주위 어디에나 있단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조각가'는 돌이나 나무 같은 재료로 예술 작품을 만드는 사람을 의미해요. 이 이야기에서는 침식이 바람과 물을 이용해 그랜드 캐니언과 같은 멋진 지형을 만들며 지구의 모습을 아름답게 바꾼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어요.

Answer: 농부들이 땅을 너무 힘들게 하는 농사 방법으로 흙을 제대로 돌보지 않아서 땅이 메마르고 약해졌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침식이 쉽게 흙먼지를 날려 거대한 먼지 폭풍을 일으켰어요.

Answer: 그들은 언덕에 계단 모양의 밭, 즉 계단식 논밭을 만들었어요. 이 방법은 물이 언덕 아래로 빠르게 흘러내려 흙을 쓸어가는 것을 막아주었기 때문에 효과가 있었어요.

Answer: 그는 침식이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산의 모습을 바꾸는 것을 보고, 지구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되었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Answer: 침식은 자연의 강력한 힘이지만, 우리가 그 힘을 이해하고 존중하면 함께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에요. 우리는 흙을 보호하고 자연과 조화롭게 지내는 방법을 배워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