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규

내 이름은 아직 말하지 않을게요. 먼저 제 눈에 비친 풍경을 묘사해 볼게요. 소용돌이치는 핏빛 오렌지색과 노란색 하늘은 마치 살아 숨 쉬며 에너지를 내뿜는 것 같아요. 저는 고요한 일몰이 아니라, 하나의 진동입니다. 제 아래로는 깊고 어두운 푸른 피오르드가 펼쳐져 있고, 길고 곧은 다리 위에서는 두 인물이 아무것도 모른 채 멀어져 가고 있어요. 하지만 제 시선은 맨 앞에 있는 인물, 사람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감정에 가까운 형체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길고 창백한 얼굴, 귀를 막고 있는 두 손, 그리고 동그랗고 검은 눈과 활짝 벌린 입을 보세요. 이것은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가 아니라, 내면 깊은 곳에서 느끼는 소리예요. 풍경과 그 사람을 통해 울려 퍼지는 조용한 절규죠. 저는 너무나 거대해서 밖으로 터져 나와야만 했던 감정의 그림입니다. 저는 '절규'입니다.

저를 만든 사람은 노르웨이 출신의 사려 깊은 예술가, 에드바르 뭉크입니다. 그는 세상을 감정과 색채로 보았죠. 저는 1892년, 그가 친구들과 함께 오슬로 근처의 피오르드 옆을 걷다가 겪었던 실제 경험, 하나의 기억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자신의 일기장에 하늘이 '핏빛으로 물들었고' 자연을 관통하는 거대하고 무한한 절규를 느꼈다고 썼어요. 이것은 으스스한 이야기가 아니라, 온 우주의 에너지와 연결된 듯한 강력하고 압도적인 감정이었습니다. 그는 단순히 풍경만이 아니라 이 감정을 그려야만 한다는 것을 알았죠. 1893년, 그는 저를 창조했습니다. 그는 평범한 판지에 템페라 물감과 크레용을 사용했는데, 덕분에 제 색깔은 날것 그대로의 강렬한 느낌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늘과 땅, 그리고 인물의 물결치는 선들은 모두 연결되어 그 감정이 어떻게 모든 것을 통해 흘러가는지 보여줍니다. 그리고 저는 혼자가 아니에요. 그는 이 감정에 너무나 사로잡힌 나머지 저를 여러 버전으로 만들었답니다. 유화, 파스텔화, 그리고 제 이미지가 널리 공유될 수 있도록 판화로도 만들었죠.

사람들이 저를 처음 보았을 때, 그들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들은 예쁘거나 사실적인 그림에 익숙했거든요. 저는 달랐습니다. 저는 '표현주의' 그림이었는데, 이는 제 역할이 외부 세계의 사실이 아닌 내면의 감정 세계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의미였죠. 어떤 사람들은 저를 불안하게 여겼지만, 다른 사람들은 이해했습니다. 그들은 말문이 막힐 정도의 불안감이나 경외감을 느꼈던 경험을 제 안에서 발견했죠. 제 목적은 사람들이 자신의 거대한 감정 앞에서 덜 외롭게 느끼도록 돕는 것이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저는 강력한 상징이 되었습니다. 제 이미지는 영화, 만화, 심지어 말로는 표현하기 힘든 감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으로도 사용되었죠. 저는 현대 사회의 스트레스와 경이로움을 나타내는 시각적 약칭이 되었습니다. 저는 단지 두려움의 그림이 아닙니다. 저는 예술이 우리의 가장 깊은 감정에 목소리를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줍니다. 때로는 압도당하는 느낌을 받는 것이 괜찮으며, 그러한 감정과 연결되는 것이 인간다움의 일부라는 것을 보여주죠. 저는 한 사람의 내면세계와 외부 세계를 잇는 다리이며, 하나의 공유된 조용한 경이의 절규를 통해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사람들을 연결하고 있습니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에드바르 뭉크는 1892년에 친구들과 피오르드 근처를 걷고 있었습니다. 그때 갑자기 하늘이 핏빛으로 변하는 것을 보고, 자연 전체를 꿰뚫는 듯한 거대하고 끝없는 절규를 느꼈습니다. 그는 이 압도적인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해야겠다고 결심했고, 그것이 바로 '절규'가 탄생하게 된 계기였습니다.

Answer: 이 이야기의 중심 주제는 예술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깊은 내면의 감정을 드러내는 강력한 수단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불안이나 경외감과 같은 강렬한 감정을 느끼는 것은 인간의 보편적인 경험이며, 예술을 통해 서로 공감하고 연결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Answer: '진동'이라는 단어는 그림이 단순히 눈으로 보는 풍경이 아니라, 온몸으로 느껴지는 강력한 에너지와 감정의 파장을 담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고요한 일몰'이 평화롭고 정적인 이미지를 주는 반면, '진동'은 불안, 에너지, 그리고 내면에서부터 울려 퍼지는 소리 없는 비명과 같은 역동적이고 살아있는 느낌을 전달합니다.

Answer: 접두사 '표(表)'는 '드러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표현주의'가 단순히 보이는 것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에 있는 감정이나 생각을 밖으로 '드러내 보여주는' 예술이라는 점을 명확하게 해줍니다. 즉, 내면의 세계를 겉으로 나타내는 예술이라는 핵심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Answer: '절규'가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이 그림이 담고 있는 불안, 공포, 스트레스, 그리고 압도적인 상황에 대한 감정이 현대인들도 보편적으로 느끼는 감정이기 때문입니다. 복잡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겪는 스트레스, 고립감, 또는 말문이 막히는 놀라움과 같은 감정을 한눈에 강력하게 전달하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에서 공감의 상징으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