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브러햄 링컨: 분열된 집 이야기
내 이름은 에이브러햄 링컨입니다. 나는 내가 깊이 사랑하는 나라인 미합중국을 하나의 크고 멋진 가족이라고 생각하곤 했습니다. 북쪽의 주부터 남쪽의 주까지, 동쪽의 해안부터 서쪽의 넓은 평원까지, 우리는 모두 그 가족의 일원이었습니다. 하지만 우리 가족에게는 깊은 불화가 있었습니다. 바로 노예제라는 끔찍한 관행 때문이었습니다.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소유하고, 사고팔고, 자유 없이 일하도록 강요하는 것이지요. 나는 이것이 우리나라가 세워진 근본 원칙, 즉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믿음에 어긋난다고 굳게 믿었습니다. 1860년, 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을 때, 이 불화는 마치 거대한 폭풍처럼 터져 나왔습니다. 남부의 여러 주들은 노예제를 유지하기를 원했고, 내가 그들의 삶의 방식을 위협한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우리 가족, 즉 연방을 떠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들은 스스로를 '남부 연합'이라고 부르며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 했습니다. 내 마음은 무겁게 가라앉았습니다. 우리나라가 스스로와 싸우게 될 것이라는 생각에 깊은 슬픔을 느꼈습니다. 한 가족의 형제들이 서로에게 총을 겨누게 될 것이라니, 이보다 더 큰 비극이 어디 있겠습니까. 나는 이 연방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었고, 어떻게든 우리 가족을 다시 하나로 합쳐야 했습니다.
그 후 몇 년은 길고 힘든 투쟁의 시간이었습니다. 대통령으로서 전쟁을 이끄는 것은 내 어깨에 엄청난 무게를 지웠습니다. 매일 최전선에서 온 편지를 읽으며, 나는 전투의 소식뿐만 아니라 병사들의 용기와 고통, 그리고 그들을 기다리는 가족들의 슬픔을 느꼈습니다. 모든 손실은 개인적인 슬픔으로 다가왔고, 나는 이 끔찍한 전쟁을 끝내기 위해 밤낮으로 고뇌했습니다. 전쟁이 계속되면서, 나는 이 싸움이 단순히 연방을 보존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것은 자유 그 자체를 위한 싸움이 되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1863년 1월 1일, 나는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이 선언은 남부 연합에 속한 주들의 모든 노예는 이제부터 영원히 자유로워질 것이라고 선포했습니다. 이것은 전쟁의 전환점이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분열된 나라를 다시 합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진정한 자유를 주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싸우고 있었습니다. 같은 해 11월, 나는 펜실베이니아 주 게티즈버그의 격전지를 방문했습니다. 그곳에서 쓰러져간 수많은 병사들을 기리기 위해 나는 짧은 연설을 했습니다. 나는 우리가 무엇을 위해 싸우고 있는지 모든 사람에게 상기시키고 싶었습니다. 바로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가 이 땅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 연설을 통해 나는 전쟁의 희생이 헛되지 않을 것이며, 이 나라가 자유의 새로운 탄생을 맞이할 것이라는 희망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마침내 1865년 4월, 기나긴 전쟁이 끝났습니다. 안도감과 희망이 나라 전체에 퍼져나갔지만, 나는 이것이 승리를 뽐낼 시간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우리 가족은 깊은 상처를 입었고, 이제는 치유의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나의 두 번째 취임 연설에서 나는 내 마음을 표현했습니다. '누구에게도 악의를 품지 말고, 모든 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나라의 상처를 싸매고, 우리 가운데 있는 사람들과 그의 과부와 고아를 돌보기 위해 노력합시다.' 나의 목표는 남부 주들을 적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잃어버렸던 형제들로 다시 환영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나라를 재건하고 분열된 우리 가족을 다시 하나로 만들어야 했습니다. 전쟁의 대가는 엄청났지만, 그 유산 또한 위대했습니다. 우리나라는 다시 하나가 되었고,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마침내 자유를 얻었습니다. 이 이야기가 여러분에게 단결과 공정함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기를 바랍니다. 우리나라를 모든 사람이 진정으로 평등한 곳으로 만드는 일은 계속되고 있으며, 그것은 우리 모두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용기와 친절함으로, 우리는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