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 테레사

안예저라는 이름의 소녀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마더 테레사이지만, 저는 언제나 안예저 곤자 보야지우라는 이름의 작은 소녀로 제 이야기를 시작한답니다. 저는 1910년 8월 26일, 지금은 북마케도니아의 수도인 스코페라는 활기찬 도시에서 태어났어요. 우리 가족은 알바니아계였고, 저는 사랑이 넘치는 집에서 자랐죠. 아버지 니콜라는 성공한 사업가였고, 어머니 드라나필레는 마음이 따뜻하고 신앙심이 깊은 분이셨어요. 어머니는 제게 자비의 중요성을 가르쳐주셨죠. 어머니는 종종 “나누지 않는 것은 잃어버리는 것과 같단다”라고 말씀하셨고, 우리 집 문은 항상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열려 있었답니다. 저는 아주 어릴 때부터 인도에서 일하는 선교사들의 이야기에 매료되었어요. 그분들이 어떻게 자신의 삶을 다른 사람들을 돕는 데 바쳤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제 마음에 깊은 감동을 주었죠. 제 삶의 전환점은 제가 겨우 열두 살이었을 때 찾아왔어요. 1922년, 저는 한 성지 순례에 참여했고, 그곳에서 하느님을 위해 살아야겠다는 강한 부르심, 즉 소명을 느꼈어요. 그 순간, 제 마음속에 선교사가 되어 세상 끝까지 사랑을 전파하고 싶다는 꿈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저는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만 했어요. 1928년, 열여덟 살이 되던 해, 저는 사랑하는 가족과 고향을 떠나 아일랜드로 향했어요. 인도로 가는 길을 열어줄 로레토 수녀회에 입회하기 위해서였죠. 가족과의 작별은 정말 가슴 아팠지만, 제 마음은 더 큰 목적을 향한 설렘으로 가득 차 있었답니다.

인도에서의 새로운 삶

아일랜드에서 짧은 기간을 보낸 후, 저는 1929년 드디어 제 꿈의 목적지인 인도로 향하는 배에 올랐어요. 길고 긴 항해 끝에 도착한 인도의 캘커타(지금의 콜카타)는 제가 상상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세상이었어요. 다채로운 색과 소리,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로 가득 찬 그곳은 제게 새로운 시작을 의미했죠. 저는 리지외의 성녀 테레사의 이름을 따서 테레사 수녀라는 새로운 이름을 받았습니다. 저는 캘커타에 있는 성 마리아 학교에서 가르치는 임무를 맡게 되었어요. 저는 지리와 역사를 가르쳤고, 나중에는 교장 선생님이 되었죠. 저는 제 학생들을 정말 사랑했고, 그들에게 지식뿐만 아니라 존엄성과 자신감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했어요. 수녀원 안에서의 삶은 평화롭고 안정적이었어요. 높은 담장 안에서 저는 학생들과 함께 보람 있는 나날을 보냈죠. 하지만 수녀원의 높은 담장 너머로 보이는 세상은 완전히 달랐습니다. 매일 아침 창밖을 내다보면, 저는 극심한 가난과 질병, 그리고 절망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게 되었어요. 길가에 누워 있는 아픈 사람들, 굶주린 아이들, 그리고 사회로부터 버림받은 이들의 모습은 제 마음을 깊이 아프게 했습니다. 저는 안전한 수녀원 안에서 그들을 위해 기도만 하고 있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지 스스로에게 묻기 시작했어요.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도 중요했지만, 제 마음속에서는 담장 밖의 사람들을 위해 무언가 더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고 있었답니다.

소명 속의 소명

제 삶을 영원히 바꿔놓은 순간은 1946년 9월 10일에 찾아왔습니다. 저는 연례 피정을 위해 캘커타에서 다르질링으로 가는 기차를 타고 있었어요. 붐비고 시끄러운 기차 안에서 저는 깊은 기도에 잠겼고, 바로 그 순간 아주 분명한 메시지를 들었습니다. 저는 이 경험을 '소명 속의 소명'이라고 부릅니다. 이미 수녀로서의 소명을 따르고 있었지만, 하느님께서 제게 더 특별한 임무를 주고 계시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죠. 그 메시지는 명확했어요. 수녀원을 떠나, 가장 가난한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 그들과 함께 살며 그들을 섬기라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생각이 아니라, 제 온 존재를 뒤흔드는 강력한 부르심이었어요. 하지만 이 새로운 길을 가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수녀원을 떠나 혼자서 새로운 공동체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특별 허가가 필요했죠. 저는 거의 2년 동안 인내심을 갖고 편지를 쓰고 기도하며 기다렸습니다. 마침내 1948년, 저는 허락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수녀들이 입는 검은 수도복을 벗고, 인도의 가난한 여성들이 입는 가장 단순한 옷인 파란색 줄무늬가 있는 흰색 사리를 입었습니다. 가진 것이라고는 제 마음에 품은 굳건한 믿음과 사랑뿐이었어요. 저는 캘커타의 빈민가로 들어가 맨땅에 나뭇가지로 글씨를 가르치며 야외 학교를 열었습니다. 곧이어 저의 옛 제자들 몇 명이 저의 사명에 동참하기 위해 찾아왔고, 우리는 함께 아픈 이들을 돌보고 굶주린 이들에게 음식을 나누어주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50년 10월 7일, 우리는 마침내 교황청으로부터 '사랑의 선교회'라는 새로운 수녀회를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시작된 위대한 사랑의 여정의 첫걸음이었습니다.

위대한 사랑으로 행하는 작은 일들

캘커타의 한 빈민가에서 열두 명의 수녀로 시작했던 우리 '사랑의 선교회'는 점차 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의 사명은 단순했어요. 굶주린 이, 헐벗은 이, 집 없는 이, 장애인, 눈먼 이, 나병 환자 등 사회에서 아무도 원하지 않고 돌보지 않는 사람들을 돌보는 것이었죠. 우리는 죽어가는 이들을 위한 집, 버려진 아이들을 위한 고아원, 그리고 아픈 이들을 위한 진료소를 열었습니다. 우리의 작은 활동은 인도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곧 전 세계로 뻗어 나갔습니다. 수십 년에 걸쳐 우리 수녀회는 수백 개의 지부를 둔 국제적인 가족이 되었고, 수천 명의 수녀와 봉사자들이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등지에서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섬겼습니다. 1979년, 저는 노벨 평화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 상이 제 개인의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섬기는 가난한 사람들, 즉 세상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이들의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상은 우리가 하는 일에 전 세계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더 많은 사람들이 소외된 이웃에게 사랑의 손길을 내미는 데 동참하게 만들었죠. 제 삶은 1997년에 끝이 났지만, 제가 시작한 일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저는 평생 동안 한 가지 진리를 굳게 믿었습니다. “우리 모두가 위대한 일을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위대한 사랑으로 작은 일들을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 한 사람 한 사람이 가진 작은 친절과 사랑의 행동이 세상을 밝히는 등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여러분의 손길이 닿는 곳에 빛과 기쁨을 가져다주는 사람이 되기를 바랍니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첫째는 12살 때 선교사가 되겠다는 소명을 느낀 것이고, 둘째는 1946년 기차 여행 중 '소명 속의 소명'을 받아 가난한 이들 속에서 살기로 결심한 것이며, 셋째는 1950년 '사랑의 선교회'를 설립하여 전 세계의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시작한 것입니다.

Answer: 마더 테레사는 수녀원 담장 밖에서 본 극심한 가난과 고통에 깊은 충격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가르치는 일을 사랑했지만, 아프고 굶주린 사람들을 외면할 수 없었고 그들 가운데서 직접 봉사해야 한다는 강한 부르심을 느꼈습니다.

Answer: 이 이야기는 우리가 큰일을 할 수 없더라도 '위대한 사랑으로 작은 일'을 함으로써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수 있다는 교훈을 줍니다. 한 사람의 친절과 사랑이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nswer: '소명 속의 소명'은 이미 수녀로서의 소명을 따르고 있던 중에 더 깊고 구체적인 부르심을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계획이 아니라, 신으로부터 받은 거스를 수 없는 강력한 사명이라는 느낌을 줍니다. '소명'이라는 단어는 이 결정이 그녀의 깊은 신앙심에서 비롯되었음을 강조합니다.

Answer: 가장 큰 어려움은 아무것도 없이 시작해야 했다는 점과 수녀원을 떠나 새로운 임무를 수행하도록 허락을 받는 것이었습니다. 그녀는 2년 가까이 끈기 있게 기다려 허락을 받았고, 이후에는 굳건한 믿음과 결단력으로 빈민가에 야외 학교를 여는 등 작은 일부터 시작하여 어려움을 극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