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를 가진 도시, 베를린

내 이름은 안나이고, 나는 동베를린이라는 도시에서 살았어. 우리 도시에는 커다란 상처가 있었지. 그건 바로 베를린 장벽이었어. 회색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이 거대한 벽은 도시를 둘로 나누었고, 우리 가족과 내 세상을 갈라놓았지. 어른들은 사람들이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 장벽을 세웠다고 말했지만, 나에게는 마치 우리를 가두어두는 거대한 감옥처럼 느껴졌어. 벽 너머 서베를린에는 우리 할머니가 사셨지만, 나는 할머니를 보러 갈 수 없었어. 나는 텔레비전에서만 서베를린의 반짝이는 불빛과 화려한 상점들을 볼 수 있었지. 나는 매일 밤 창문으로 그 거대한 회색 벽을 바라보며 언젠가 저 벽을 넘어 할머니를 꼭 안아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꿈꿨어. 그 벽은 단순한 콘크리트가 아니었어. 그것은 슬픔과 그리움의 상징이었지.

1989년 가을, 공기 중에 변화의 기운이 느껴지기 시작했어. 어른들은 흥분된 목소리로 속삭였고, 저녁이 되면 거리에는 촛불을 든 사람들이 평화롭게 행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지. 사람들의 얼굴에는 두려움 대신 희망이 가득했어. 그리고 마침내 1989년 11월 9일, 그날 밤이 왔어. 우리 가족은 텔레비전 앞에 모여 앉아 있었는데, 귄터 샤보프스키라는 정부 관리가 여행에 관한 혼란스러운 발표를 했지. 그는 동독 시민들이 이제 국경을 넘어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다고 말했어. 그 순간, 거실에는 정적이 흘렀어. 아빠는 눈을 동그랗게 떴고, 엄마는 믿을 수 없다는 듯 손으로 입을 가렸지. 이게 정말일까? 우리는 서로를 쳐다보며 같은 질문을 던졌어. 잠시 후, 아빠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외투를 입으며 말했어. "가자. 우리 눈으로 직접 확인해 봐야 해." 심장이 쿵쾅거리기 시작했어. 우리는 거리로 쏟아져 나오는 사람들의 물결에 합류했고, 모두가 한곳, 바로 베를린 장벽을 향해 걸어가고 있었어.

우리는 보른홀머 슈트라세 국경 검문소에 도착했어. 그곳에는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지. 사람들은 "문을 열어라!"라고 외쳤지만, 그들의 목소리에는 분노가 아닌 간절한 희망이 담겨 있었어. 나는 국경 수비대원들의 당황하고 혼란스러운 얼굴을 보았어. 그들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것 같았지. 몇 시간이 흐른 후, 마침내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났어. 굳게 닫혀 있던 문이 천천히 열리기 시작한 거야. 그 순간, 사람들의 환호성이 밤하늘을 가득 메웠어. 우리는 서로를 껴안고 기쁨의 눈물을 흘렸지. 나는 아빠의 손을 꼭 잡고 처음으로 서베를린 땅을 밟았어. 그곳은 내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밝고 활기찼어. 화려한 불빛, 자동차 소리, 사람들의 웃음소리가 온몸을 감쌌지. 사방에서 수십 년 만에 만난 가족들이 서로를 부둥켜안고 우는 모습이 보였어. 그날 밤, 사람들은 망치와 곡괭이를 들고 나와 장벽을 부수기 시작했어. 콘크리트 조각이 떨어져 나갈 때마다 우리의 자유가 한 뼘씩 자라나는 것 같았어. 돌이켜보면, 그 밤은 평범한 사람들의 목소리가 얼마나 큰 힘을 가질 수 있는지 보여준 순간이었어. 그날 밤, 베를린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도시였단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장벽이 도시를 둘로 나누고 가족들을 갈라놓아 사람들에게 큰 아픔과 슬픔을 주었기 때문입니다. 마치 몸에 난 상처처럼 도시를 아프고 보기 흉하게 만들었다는 의미입니다.

Answer: 처음에는 너무 놀라 믿을 수 없었지만, 곧이어 큰 희망과 흥분을 느꼈습니다.

Answer: 정부의 발표가 갑작스러웠기 때문에, 수비대원들은 문을 열라는 명확한 명령을 받지 못했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랐기 때문입니다.

Answer: 문제는 베를린 장벽 때문에 자유롭게 여행하거나 다른 곳으로 갈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평화롭게 장벽으로 모여들어 문을 열라고 함께 외쳤고, 많은 사람들이 모인 힘으로 결국 문이 열리게 만들었습니다.

Answer: 그것은 정부가 아닌, 바로 사람들 스스로가 분단의 상징인 장벽을 무너뜨리고 자유를 되찾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강력한 상징입니다. 또한 다시는 이런 장벽이 세워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