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나누는 멋진 생각

혹시 친구들과 피자 한 판을 나누어 먹거나, 케이크를 만들 때 밀가루 반 컵을 써 본 적이 있나요. 온전한 하나로는 부족할 때, 무언가를 공평하게 나누어야 할 때가 있죠. 나는 바로 그럴 때 나타나는 아주 특별한 생각이에요. 나는 1, 2, 3 같은 숫자들 사이에 조용히 숨어 있답니다. 나는 전체가 아닌 조각이고, 하나보다 작지만 세상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존재예요. 초콜릿 바를 친구와 정확히 반으로 나눌 때, 주스 한 병을 여러 컵에 똑같이 따를 때, 여러분은 이미 나를 사용하고 있는 거예요. 내가 없으면 세상은 공평하게 나누기 어려운 것들로 가득 찼을 거예요. 내 이름이 무엇인지 궁금한가요. 내 진짜 이야기는 아주 먼 옛날, 뜨거운 모래바람이 부는 땅에서 시작된답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곧 나를 만나게 될 테니까요.

사람들은 나를 '분수'라고 불러요. 나의 가장 오랜 친구들은 바로 고대 이집트 사람들이었어요. 상상할 수 있나요. 매년 거대한 나일강이 넘쳐흘러서 주변의 모든 밭과 땅의 경계를 지워버리는 모습을요. 강물이 빠지고 나면, 이집트 사람들은 큰 고민에 빠졌어요. "이 넓은 땅을 어떻게 원래 주인들에게 공평하게 다시 나누어 주지." 바로 그때 내가 짜잔 하고 등장했죠. 나는 그들이 줄자를 이용해 땅을 똑같은 부분으로 나누어 원래 주인에게 돌려줄 수 있도록 도와주었어요. 내 덕분에 사람들은 다투지 않고 자신의 땅을 되찾을 수 있었답니다. 나의 활약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어요. 거대한 피라미드를 짓는 데는 수천 명의 일꾼들이 필요했고, 그들에게 매일 음식을 나누어 주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었죠. "빵 한 덩이를 네 명에게 똑같이 나눠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들의 머릿속에서 내가 속삭였어요. "바로 1/4씩 나누면 돼." 이집트 사람들은 나를 조금 특별한 방법으로 사용했어요. 그들은 주로 분자가 1인 1/2, 1/3, 1/4 같은 '단위 분수'를 좋아했답니다. 지금 우리가 흔히 쓰는 3/4 같은 모양은 먼 훗날 다른 나라의 똑똑한 친구들이 발전시켜 준 모습이에요.

고대 이집트에서 땅과 빵을 나누던 나의 모습은 오늘날 여러분의 생활 속에도 그대로 살아있어요. 나는 이제 여러분의 가장 친한 파트너가 되었답니다. 빵을 굽는 제빵사는 맛있는 케이크를 위해 밀가루 1/2컵과 설탕 3/4컵을 정확히 재려고 나를 불러요. 신나는 노래를 만드는 음악가는 악보 위에서 4분음표, 8분음표 같은 나를 이용해 멋진 리듬을 만들어내죠. "지금 몇 시야." 하고 물었을 때, "3시 30분이야." 라는 대답을 들어본 적 있나요. 그건 바로 한 시간의 절반(1/2)이 지났다는 뜻이에요. 가게에서 '50% 할인'이라는 글자를 본 적 있나요. 그건 원래 가격의 절반(1/2)만 내면 된다는 뜻이죠. 이것도 바로 나, 분수랍니다. 이처럼 나는 세상을 더 공평하고 정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줘요. 무언가를 나누고, 합치고, 이해하는 모든 순간에 내가 함께하죠. 나는 여러분이 세상을 더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게 해주는 멋진 생각이에요. 그러니 기억해주세요. 전체를 나누어 부분을 이해할 때, 내가 항상 여러분 곁에 있다는 것을요.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나일강이 범람한 후 땅을 공평하게 다시 나누기 위해서 필요했고, 피라미드를 짓는 수많은 일꾼들에게 음식을 똑같이 분배하기 위해서 필요했습니다.

Answer: 분수에서 나누는 조각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분자가 항상 1인 분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1/2이나 1/4 같은 것입니다.

Answer: 요리, 음악, 시간, 쇼핑 등 우리 생활의 아주 많은 부분에서 세상을 더 정확하고 공평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Answer: 원래 가격의 절반을 의미하므로, 1/2과 같습니다.

Answer: 그들은 땅을 어떻게 다시 나눠야 할지 몰라 걱정하고 혼란스러웠을 것입니다. 분수는 그들이 땅을 공평하게 똑같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어 문제를 해결해 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