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구의 녹색 거인

나는 바쁜 항구에 우뚝 서서 매일 수많은 배들이 오가는 것을 지켜봐. 거대한 도시의 스카이라인이 내 뒤에 펼쳐져 있고, 내 구리 피부 위로 내리쬐는 태양의 따스함을 느껴. 처음에는 반짝이는 동전 색이었지만, 오랜 세월 비와 바람을 맞으며 지금은 부드러운 녹색이 되었지. 한 손에는 횃불을 높이 들고 있고, 머리에는 일곱 개의 뿔이 달린 왕관을 쓰고 있어. 사람들은 내 발치에서 아주 작아 보이지. 나는 묵묵히 서서, 이곳을 찾는 모든 이들을 환영해. 나는 자유의 여신상이야.

나의 이야기는 바다 건너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어. 1865년, 남북전쟁이 끝나고 자유의 소중함을 기념하고 싶었던 에두아르 드 라불레라는 사람이 아이디어를 냈지. 바로 프랑스 국민들이 미국 국민들에게 우정의 선물을 하자는 거였어. 그 선물이 바로 나야. 재능 있는 조각가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가 나를 디자인하는 중대한 임무를 맡았어. 그는 수년 동안 나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내 얼굴은 자신의 어머니 얼굴을 모델로 삼았다고 해. 파리의 커다란 작업실에서 나는 수많은 작은 조각들로 나뉘어 만들어졌어. 거대한 퍼즐처럼, 언젠가 하나로 합쳐질 날을 꿈꾸면서 말이야.

나를 튼튼하게 세우기 위해 또 다른 유명한 사람이 나를 도와주었어. 바로 나중에 에펠탑을 만든 구스타브 에펠이야. 그는 내부에 강하면서도 유연한 철골 뼈대를 설계해서, 내가 거센 바닷바람에도 끄떡없이 서 있을 수 있도록 해줬지. 마침내 내가 완성되자, 나는 다시 350개의 조각으로 분해되어 214개의 상자에 담겼어. 1885년, 나는 '이세르'라는 이름의 배에 실려 거친 대서양을 건너는 긴 여행을 시작했어. 그때 미국에서는 내가 서 있을 거대한 받침대를 만들기 위한 특별한 일이 벌어지고 있었어. 조셉 퓰리처라는 신문사 사장님의 캠페인 덕분에, 전국의 어린이들까지 자신의 용돈인 1센트, 5센트, 10센트 동전을 기부하며 나의 집을 짓는 데 힘을 보탰단다.

마침내 1886년 10월 28일, 나는 미국 땅에 세워져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되었어. 그날은 정말 큰 축제였지. 나는 단순한 조각상이 아니야. 나는 자유와 희망, 그리고 새로운 삶을 찾아 이곳에 오는 사람들을 환영하는 상징이란다. 내 받침대 안에는 엠마 라자루스라는 시인이 쓴 '새로운 거상'이라는 아름다운 시가 새겨져 있어. 그 시에는 '지치고 가난한 자들이여, 내게로 오라'는 유명한 구절이 있지. 나는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희망을 안고 근처 엘리스 섬에 도착하는 모습을 지켜보았어.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나는 전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희망과 우정의 등불이 되어 이 자리를 지키고 있단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뼈대는 여신상이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튼튼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몸 안에서 지지해 주는 철골 구조물을 의미해요.

Answer: 어린이들도 자유와 희망이라는 여신상의 의미를 소중하게 생각했고, 이 멋진 선물을 미국에 세우는 일에 참여하고 싶었기 때문이에요.

Answer: 미국 사람들은 두 나라 사이의 우정에 대해 매우 감사하고 기뻤을 거예요. 그리고 자유라는 소중한 가치를 상징하는 멋진 선물을 받게 되어 자랑스러웠을 거예요.

Answer: 먼저 프랑스에서 여신상을 디자인하고 조각으로 만들었어요. 그 다음, 조각들을 상자에 담아 배로 미국까지 운반했어요. 마지막으로, 미국 사람들이 만든 받침대 위에서 조각들을 다시 조립하여 완성했어요.

Answer: 자유의 여신상은 단순히 큰 조각상이 아니라, 국가 간의 우정, 자유, 그리고 새로운 시작을 꿈꾸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희망의 상징이라는 것을 전하고 싶어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