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블로 피카소

안녕, 나는 파블로 피카소라고 해. 내 이름은 들어봤을지도 모르겠구나. 나는 세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보는 법을 사람들에게 보여준 화가란다. 내 이야기는 1881년,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는 스페인에서 시작되었어. 나의 아버지, 호세 루이스 이 블라스코는 미술 선생님이셨지. 아버지는 내가 아주 어렸을 때부터 그림에 특별한 재능이 있다는 걸 알아보셨고, 나에게 첫 미술 수업을 해주셨단다. 나는 그림 그리기를 너무나 사랑해서 학교 공부에는 거의 신경을 쓰지 않을 정도였어. 연필이나 붓만 손에 쥐면 몇 시간이고 세상을 잊곤 했지. 열세 살이 되었을 무렵, 나는 이미 어엿한 대가처럼 그림을 그릴 수 있었어. 아버지는 내 재능을 보시고는 자신의 붓을 나에게 물려주시며 더 이상 그림을 그리지 않겠다고 선언하실 정도였단다. 더 큰 세상에서 미술을 배우기 위해 나는 바르셀로나로, 그리고 스페인의 수도인 마드리드로 이사해서 미술 학교에 다녔어. 하지만 그곳에서 가르치는 오래된 규칙들은 내 머릿속에서 끓어오르는 수많은 아이디어를 담기에는 너무 작고 답답하게 느껴졌지. 나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복사하는 것 이상을 원했어. 나만의 눈으로 본 세상을 표현하고 싶었단다.

내 예술적 갈증을 채워줄 곳을 찾아, 나는 1904년에 예술가들의 도시인 프랑스 파리로 향했어. 그곳에서의 삶은 처음에는 아주 힘들었단다. 가난했고, 외로웠지. 내 마음속의 슬픔과 내가 본 가난한 사람들의 모습은 자연스럽게 내 캔버스로 옮겨졌어. 나는 주로 파란색과 청록색을 사용해 차갑고 어두운 분위기의 그림들을 그렸는데, 사람들은 이 시기를 나의 '청색 시대'라고 부른단다. 하지만 파리에서의 삶이 점차 나아지고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면서 내 마음에도 따스한 햇살이 비치기 시작했어. 그러자 내 그림도 변하기 시작했지. 캔버스는 분홍색, 주황색, 베이지색 같은 따뜻한 색들로 채워졌고, 나는 서커스 단원이나 광대처럼 재미있는 사람들을 그리기 시작했어. 이 시기는 '장미 시대'라고 불린단다. 파리에서 나는 조르주 브라크라는 아주 좋은 친구이자 동료 화가를 만났어. 우리는 서로의 작업실을 오가며 예술에 대해 밤새 이야기하곤 했지. 우리는 둘 다 기존의 그림 방식에 만족하지 못했고, 세상을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시작했어. 그때 우리는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던 혁명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된단다.

바로 그 혁명이 시작되는 순간이었지! 조르주와 나는 사람들이 사물을 한 방향에서만 보는 것에 의문을 가졌어. 예를 들어, 컵을 볼 때 우리는 앞모습만 보지만, 사실 그 컵에는 옆모습과 뒷모습, 그리고 위에서 본 모습도 동시에 존재하잖아? 우리는 이 모든 시점을 하나의 캔버스에 담고 싶었어. 그래서 우리는 '입체주의'라는 이름의 위대한 예술적 모험을 시작했단다. 우리는 사물을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는 대신, 그것들을 정육면체, 원뿔, 사각형 같은 기하학적인 형태로 분해해서 여러 각도에서 본 모습을 한 번에 보여주려고 했지. 1907년, 나는 이 새로운 생각으로 나의 가장 유명하고 충격적인 작품 중 하나인 '아비뇽의 처녀들'을 그렸어. 이 그림을 본 사람들은 모두 깜짝 놀랐지. 아름답게 보여야 할 사람들의 얼굴과 몸이 조각난 파편처럼 보였으니까. 많은 사람들이 내 그림을 비난했지만, 나는 이것이 예술의 미래라고 굳게 믿었어. 우리는 그림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언어를 발명하고 있었던 거야.

나는 평생 단 한 순간도 창작을 멈추지 않았어. 그림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내 생각을 표현했지. 1937년, 나의 조국 스페인에서 끔찍한 내전이 일어났고, 게르니카라는 작은 마을이 폭격으로 파괴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나는 깊은 슬픔과 분노에 휩싸였어. 나는 그 비극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거대한 흑백 그림 '게르니카'를 그렸단다. 이 작품은 전쟁의 잔혹함을 고발하고 평화를 향한 나의 간절한 외침이었지. 나는 낡은 자전거 안장과 핸들을 조립해 황소 머리 모양의 조각품을 만드는 것처럼 일상적인 물건들로 조각품을 만들기도 했고, 도자기를 굽고, 판화를 찍는 일에도 열정을 쏟았어. 나에게 예술은 단순히 아름다운 것을 만드는 일이 아니라, 나의 삶 그 자체이자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이었단다. 나는 1973년, 아흔한 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붓을 놓지 않았어. 나의 삶과 작품이 너희들에게 세상을 다르게 보고, 너희 자신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무언가를 만들어보도록 영감을 주기를 바란다.

독해 질문

답변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nswer: '청색 시대'는 피카소가 파리에서 가난하고 외롭게 살던 시기로, 그의 슬픈 감정이 주로 파란색 계열의 색으로 표현되었습니다. 반면, '장미 시대'는 그의 삶이 나아지고 사랑을 찾으면서 행복해진 시기로, 분홍색이나 주황색 같은 따뜻한 색을 사용하여 서커스 단원 등을 그리며 밝아진 감정을 반영했습니다.

Answer: 이 표현은 피카소와 브라크가 이전에는 없었던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그림을 그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들은 사물을 보이는 대로 그리는 대신, 여러 각도에서 본 모습을 기하학적 형태로 분해하고 재조합하여 표현함으로써, 마치 새로운 언어로 세상을 묘사하는 것과 같은 혁신을 이루었습니다.

Answer: 피카소의 이야기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교훈은 기존의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보고 표현하는 용기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슬픔이나 기쁨 같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평생 무언가를 배우고 창조하려는 열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Answer: 피카소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따라 그리는 것 이상의 것을 원했기 때문입니다. 그의 머릿속에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가득했기 때문에, 정해진 규칙대로만 그리는 전통적인 방식이 답답하게 느껴졌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그가 기존의 틀을 깨고 '입체주의'와 같은 완전히 새로운 예술 사조를 창시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Answer: 피카소는 스페인 내전 중 게르니카 마을이 폭격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깊은 슬픔과 분노를 느꼈습니다. 그는 거대한 흑백 그림 '게르니카'를 그려 자신의 감정을 표현했습니다. 이 작품을 통해 그는 전쟁의 잔인함과 비극을 세상에 고발하고, 평화를 향한 간절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